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Social Network Service)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성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on SNS(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eer Attachment

  • 1,035
151558.jpg

본 연구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표현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지역 중학교 학생 4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BM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SNS의 집착과 금단, 과잉 소통과 몰입을 측정하는 SNS 중독 경향성 질문지를 비롯해 자기중심성과 착취․공격성,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내현적 자기애 척도, 또래와의 의사소통 수준과 신뢰, 소외를 측정하기 위한 또래애착 척도, 정서인식과 표현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정서표현성 척도들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으며 다중매개효과는 팬텀변수를 설정 후 부트스트 랩핑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는 정서 표현성과 또래애착 문제를 유발하고 SNS 중독 경향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는 각각 정서표현성과 또래애착을 매개로 SNS 중독 경향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는 정서표현성의 문제를 유발하고 이렇게 유발한 정서표현성의 문제가 또래애착을 매개로 SNS 경향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가 청소년의 SNS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혀내고 또래애착과 정서표현성이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SNS addiction tendency. 480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analyse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2.0 and AMOS 22.0. Survey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bootstrapping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to identify multiple mediating effects. Important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expressiveness, peer attachment problems, and SNS(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 Second, the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SNS(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in adolescent when emotional Expressiveness or peer attachment problems are mediated. Third, the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expressiveness problems which could also increase SNS(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tendency by mediating peer attachment problems.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