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모의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가 부정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Marital Conflict, Child-Rearing Stress, and Job Stress, Impact o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연구소
- 가족과 상담
- 제10권 제1호
-
2020.0221 - 36 (16 pages)
- 556

본 연구는 취업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과 가정을 병행하고 있는 20∼50대 취업모 207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각 변인간의 상관을 알아보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이 심할수록 부정적 양육태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양육스트레스가 부부갈등 보다 부정적 양육태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무스트레스는 부정적 양육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양육에 있어서 자녀보다 어머니에게 초점을 맞추어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위해 부정적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variables that affec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working mothers. 207 employed women in 20s and 50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was analyzed by using multi-recovery analysis after exami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variable. Analysis shows that the more severe the child-rear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the more negative the child-rearing attitude than marital conflict. However, job stres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egative upbring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s on mothers rather than children in child-rearing and reveals variables that affec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discussed.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및 해석
논 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