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시설 거주 발달장애 성인의 스포츠 활동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철인교실 운영을 기반으로

Autoethnography on Sports Activity of Person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in Facilities : Based on Ironman Class Operation

  • 266

본 연구는 생활시설 내 제한 된 공간에서 생활하던 발달장애인들의 신체활동과 여가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연구자가 직접 기획하고 출범시킨 철인교실에 참여한 발달장애인들의 다양한 경험이 그들의 삶의 여정에 어떤 변화를 가져다주었는지, 또한 이를 지켜본 지역사회에는 어떤 메시지를 던져주었는지에 대한 경험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철인교실을 직접 이끌어 왔던 연구자 자신의 경험을 자문화 기술지를 통해 제시하였다. 자료수집은 기억자료, 자기성찰 자료, 참여관찰 외에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선정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철인교실 행사계획서 및 프로그램일지, 신문 및 보도자료, 마라톤동호인들의 블로그에 실린 글, 연구자의 기록물 등의 자료를 함께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주제, 중주제, 대주제 형태로 분류하고 기술, 분석, 해석을 나선형적으로 수행하였다. 자료의 타당도와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간 검토, 전문가 회의, 삼각검증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철인교실은 무료한 일상을 보내던 발달장애인들을 삶의 주체로 인식하고 존중하는 프로그램이었다. 둘째, 철인교실은 발달장애인들이 지역사회와의 사회통합의 기회였다. 셋째, 철인교실은 발달장애인들이 삶의 주체로서 당당히 존재하기 위한 자립역량강화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주체로 성장하기 위한 평생교육 실천의 장이었다. 결론적으로 철인교실은 흥미유발적 요소를 담아내고 일방향의 통제적이고 지시적이 아닌 스스로가 즐기면서 자발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건강과 체력을 증진시키고, 다양한 사회 통합적 도전적 경험을 통해 자신감과 자존감 향상은 물론 사회성과 공동체 의식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ronman class operation centering on social integrating sports activities planned and launched by an author to support physical activities and good use of spare time as exemplary case in a field.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A, B, C groups. Group A consisted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participating in ironman class program. Group B and Group C consisted of staff of living institution, members of ironman clubs and marathon clubs. This study used interview data, memory data, self reflection data, project plan for ironman class activities.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re carried out in a spiral way. Follow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ronman class served as a place through whic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an experience wider world and recognize the world. Second, ironman class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pleasure of exercise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live independently. Third, ironman class served as an opportunity of social integration through whic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ho are alienated from mainstream society can communicate with members of local community and can b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lif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