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619.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술⋅가정과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참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 218

본 연구는 중등학교 기술⋅가정과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참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 방법으로 전국의 중등 기술⋅가정과 교사 345명의 설문 자료를 SPSS 24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F검증을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현재 단위 학교에서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편성 시수가 부족하고(61.1%), 교사의 수도 부족(53%)하다고 인식하고, 학교교육과정 편성에 대부분 참여하고 있었으며(62.0%), 향후 학교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참여하겠다는의지도 매우 높았다(4.47, 89.9%). 둘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알고 있었고(3.34) 긍정적인 인식(37.7%)보다 부정적인인식(52.8%)이 많았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생들의 진로 선택(3.88)과 전공 분야의 전문내용 심화(3.81)를 긍정적인 영향으로인식한 반면, 비입시 과목으로 인한 선택 감소(3.90)와 이에 따른 교사 전보의 어려움(3.57) 등을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진로선택과목의 조정(4.51), 선택과목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보급(4.46), 기술과 가정의 분리(4.45), 평가방법 및 적용에 대한 연수 제공(4.44)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기술⋅가정 교과가 차기 교육과정 개정과 고교학점제에 지혜롭게 대비할 수 있는 기초 자료와 고등학교 기술⋅가정교육과정 편제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condary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data of 345 secondary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nationwide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F-test with SPSS 24.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recognized that current schools lacked the time to organiz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61.1%) and the number of teachers (53%). Most of them have participated (62.0%) and were very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4.47, 89.9%). Second,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were awar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more than the average (3.34), and more negative (52.8%) than positive (37.7%). As a positive influence, students recognized career choices (3.88) and deepened professional content in their major fields (3.81).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impact was the decrease in choice due to non-entry subjects (3.90) and the difficulty in moving teachers to school (3.57). Third, in order to stably respond to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ordinating career elective courses (4.51),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lective courses (4.46), separating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4.45), and providing training on evalua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4.44).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and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based on high school credit system.

Ⅰ. 서론

Ⅱ. 관련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