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부모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연구
A Study on the Gender Roles Featured in the Illustrations of the Paren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제32권 제1호
- : KCI등재
- 2020.03
- 35 - 50 (16 pages)
본 연구는 실질적 양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학교교육의 역할과 성역할 사회화 과정에 주목하여, 중⋅고등학교의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 영역에 나타나는 삽화 속 아버지상과 어머니상을 분석하였다. 이에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1’과 ‘기술⋅가정2’ 교과서와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총 36종의 ‘가정’ 영역에 등장하는 부모삽화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삽화의외형적 측면에서의 부모 성역할과 내용적 측면에서의 부모 성역할을 분석범주로 삼았다.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중⋅고등학교의 ‘기술⋅가정’ 교과의 ‘기술⋅가정’ 교과서 속 부모삽화는 양성평등한 성역할의 측면과함께 특정 성에 편중된 성역할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것처럼, 전통적인 부모의성역할에 있어서 어머니는 가사 일을 전담하고 아버지는 가정의 가장으로서 권위를 가지고 재화를 창출하는 경제활동의 중심에놓는 양상이 여전히 남아있는 일부 삽화들의 경우, 전통적 성역할 고정관념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의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s of father and mother featured in the illustration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paying attention to the roles of the school education for the effective gender e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would serve for a balanced gender role through their illustr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sampled a total of 36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ers, and for high schoolers, and thereby, selected their illustrations of parents, and then, analyzed them in terms of their external aspects and contents. Summing up, i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hat most of their illustrations show gender-equal roles, while some of them reflect a fixed conception of the gender roles. Since the homes are the bases for socialization of the children about the gender roles, it is required of our middle and high schools to implement a gender-equal education. As see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llustrations of our middle and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ducation’ textbooks feature the mothers as housekeeper and the fathers as family heads creating the goods and services. Hence, it is urgent to correct such conception of the patriarchal gender roles.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