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가족 수업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기술⋅가정 ‘관계’와 ‘안전’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torytelling Family Classes Using Picture Books on the Resilience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of Adolescents: Focusing on the Core Concepts of ‘Relationship’ and ‘Safety’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제32권 제1호
-
2020.03167 - 184 (18 pages)
-
DOI : 10.19031/jkheea.2020.03.32.1.167
- 395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가족 단원에서 그림책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수업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가족 형태, 가족관계, 가족갈등, 성폭력, 가정폭력, 가족 상실에관한 5가지 주제의 그림책을 선정하고 스토리텔링 요소와 기법을 적용한 ‘그림책으로 만나는 가족’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남녀 중학생 194명을 대상으로 기술⋅가정 수업시간에 적용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이 지각하는 회복탄력성 정도는 수업 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사회성 영역의 하위요인 중 자아확장력에서는수업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수업의 효과가 나타났고, 아버지보다 어머니와의관계에서 느끼는 애정적 결속 정도가 더 증가하였다. 회복탄력성의 향상과 부모자녀관계 향상을 목표로 하는 기술⋅가정 교과의가족 단원에서 그림책을 통한 스토리텔링 수업은 자신의 역경을 딛고 일어서는 잠재적인 힘을 청소년 스스로 길러주게 하여청소년 가정의 가족과의 관계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telling lessons using picture books on the resilience of adolescents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the family unit of home economics subject in middle school. For this purpose, I selected picture books of five themes on family type, family relationship, family conflict, sexu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and family loss, and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Family class with picture book using storytelling elements and techniques. The teaching-learning plan was applied to 194 middle school studen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classes, and the learning effet was evaluated by comparing pre- and post-tests. As a result, the resilience level perceived by adolescent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lass, but no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on self-expansion, which is a sub-factor of sociality.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adolescents, the effect of instruction was shown in all areas, and the affectional bonds felt in the relationship with mother than with father showed higher increase. In the family unit of home economics, storytelling lesson through picture book seems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dolescents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by bringing up the potential power in them to stand against the adversities they may face.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