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교사의 교육평가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Autoethnography on Education Assessment Experience of Primary School Teacher

  • 280

이 연구는 자문화기술지의 방법으로 초등교사의 교육평가 경험을 탐색한다. 연구자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강조되는 성장 중심평가, 교육목표-수업-평가 일치와 같은 대안평가 패러다임이 제도로 도입되기 이전에 교직에 들어서 평가와 관련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 교사 교육기관의 경험을 통해 갖고 있었던 평가의미와 평가관은 제도와 담론을 통해 구성·재구성되었으며, 교실에서의 평가 실천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교실의 평가 실천은 교사인 연구자에게 어떤 성찰의 지점을 제공하였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평가 경험은 첫째, 학생으로서 또, 교사교육기관에서 내재화하였던 평가의미를 교직에 막 들어서 실천하고 모순을 느꼈던 시기 둘째, 때마침 접하였던 대안평가 담론과 평가혁신과 관련된 지역교육청의 제도를 경험하고 받아들였던 시기, 마지막으로 이런 대안평가를 적극적으로 실천하면서 평가의 여러 의미들이 심화되어갔던 시기로 구분하여 서술되었다. 서술된 평가 실천 경험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의 사회적 기능에 초점을 두는 동안 평가의 교육적 본질은 주변화되고 있었다. 둘째, 전통적 평가의 실천뿐만 아니라 대안평가의 실천에서도 평가는 학생을 규율하는 하나의 장치로 기능하였다.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교육종사자 모두가 평가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일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성찰적 자세를 견지하는 태도가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education evaluation experience of a primary school teacher through the method of autoethnography. The researchers took up teaching jobs before the current system was introduced with an alternative assessment paradigm, such as growth-oriented assessment, goal-class-assessment alignment highlighted in elementary schools and experienced various changes related to the assessment. In this process, the meaning and perception of assessment who had experience in the student and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was composed and recomposed through the system and discourse, and influenced the practice of assessment in the classroom. And the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 provided a reflection point for the researcher as a teacher. The assessment experience under this article is as follows: First, when I entered the teaching profession, I realized the meaning of assessment that had been internalized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elt the inconsistency. Next, when I experienced and accepted the system of regional education offices related to alternative assessment discourse and evaluation innovation, which I encountered just in time, Finally, the various meanings of the assessment were deepened as the alternative assessment was actively imple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escribed assessment practice experience are as follows: First, while focusing on the social function of the assessment, the educational nature of the assessment was marginalizing. Second, in the scene of educational practice, assessment was not a description but a construction. In addition to the practice of traditional evaluations, in the practice of alternative assessments, evaluations served as a device to discipline students. It is necessary for all education subjects to maintain a reflective attitude to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what is happening around the assessment.

Ⅰ. 서론

Ⅱ.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과 연구자 배경

Ⅲ. 평가 경험의 내러티브

Ⅳ. 평가 내러티브의 사회적 의미 분석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