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695.jpg
KCI등재 학술저널

텍스트 마이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국 가족치료 연구경향 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 학술지(1993-2019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Family Therapy Field through Text Min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993-2019)-

  • 31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가족치료의 연구경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가족치료학회의 학술지 창간호 1993년 제1권 1호부터 2019년 제 27권 3호까지의 연구논문 439편의 주제어들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주제어 단순빈도 분석, 주제어 간 동시출현빈도 분석, 주제어 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지 발표 논문의 주요한 주제어는 ‘의사소통’, ‘해결중심 단기치료’, ‘청소년’, ‘사례연구’였다. 둘째, 학술지 발표 논문에서 동시에 같이 연구된 주제 중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의사소통-자아존중감’이었다. 셋째, 중심성 분석 결과, 학술지 발표 논문의 주제 중 다른 주제와 가장 연결성이 높은 주제는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넷째, CONCOR 분석 결과, 학술지 논문의 주제어들은 ‘후기 가족치료’, ‘의사소통/ 다양한 가족 이슈’, ‘질적 연구방법론’ ‘보웬 모델/ 부부․가족관계’ 등 4개의 집단을 이루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텍스트 마이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현 시점까지의 국내 가족치료 연구에서 진행된 관심 주제를 밝히고 지식구조를 파악해 봄으로써 보다 진전된 분석방법을 통해 종래의 연구경향을 요약, 정리함과 동시에 향후 국내 가족치료 연구의 방향성 설정을 위한 탐색의 의의를 갖는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Korean family therapy.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key word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from the first issue in 1993 to Vol. 27, Issue 3 in 2019 were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By using these methods, frequency analysis of key words, co-occurrence analysis of key words,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were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key words of articles of the Journal are ‘communication’,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adolescent’, and ‘case study’. Second, the main pair of key words is ‘communication-self esteem’. Third, ‘communication’ has the highest degree-centrality of the entire set of key words. Finally,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post-family therapy’, ‘communication/diverse family issu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Bowen’s model/couple and family relationship’ are identified as four subgroup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Korean family therapy up to now, as well as offer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in the field.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