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산업체 관계자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참여 형태에 따른 잠재계층 유형화 및 특성 분석

A Latent Class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s of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Participation of Industry Officials

DOI : 10.37210/JVER.2020.39.2.21
  • 143

이 연구는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산업체 관계자의 참여 형태에 따라서 잠재계층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산업계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산학협력의 형태로 참여하고 있는 산업체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유형화를 위해 Mplus 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잠재계층분석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산업체의 참여는 취업 단계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산업체는 산학협력에 참여하고 있는 영역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지만, 미참여 영역에 대한 참여의도는 낮은 상반된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산업체 관계자의 중등단계 직업교육 참여 형태는 ‘산학협력 선도형’, ‘취업 중심형’, ‘산합협력 미흡형’잠재계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산학협력 선도형’의 유관기관 협력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나,‘취업중심형’, ‘산학협력 미흡형’ 산업체들은 산학협력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았으며, 동시에 산학협력에 대한 인센티브도 크게 요구하지 않았다. 셋째, 산업체의 업종에 따라 직업계고 산학협력 참여 유형에 차이가 있었다.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산업계 참여 확대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산업체 참여 형태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 방안이 필요하며, 산업체를 대상으로 직업계고 산학협력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형성할 수 있도록 시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업체와 중등단계 직업계고 유관기관들의 협력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ways to expand industry participation in secondary education by classifying potential classe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by industry officials and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in secondary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industry officials participating in various form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nd the latent class analysis method was carried out using the Mplus 8.0 program for typification. The main results from the study were: First,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dustrial participation was concentrated in the employment stage, while industry official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areas involved i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but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non-participating areas was low and contradictory. Second, the types of industry-related officials’ participation in middle-level vocational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leading type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entire type of employment-oriented and deficient type of industrial cooperation. While the level of cooperation among related agencies was significantly high, industries with employment-oriented and poor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were not aware of the need for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did not require much incentives for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mong industries. Suggestions for the expansion of industrial participation in secondary-level vocational education are as follows. Differentiated approach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dustry participation are needed, and pilot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nd operated to help businesses form positive experiences in vocational high school industry cooper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operative system of industry and related agencies of middle-level vocational school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