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조직구성원의 역량 발현 과정과 단절 고리에 관한 이론적 탐색

Employee’s Competence Activation Process and Missing Links: A Theoretical Exploration

  • 32

본 연구는 인간의 능력에 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역량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역량의 실천적 활용 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직 맥락에서 의도, 행동, 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역량의 발현 과정과 이를 차단하는 요소로서 단절 고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pencer와 Spencer(1993)의 역량 인과 관계 모형을 초기 모형으로 설정하고, 이 모형을 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이론과 모형을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이론적 탐색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의도와 행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역량의 발현 과정은 지식, 개인 멘탈모델, 공유된 멘탈모델의 세 요소의 상호작용으로 구성된 개인의 의도가 탈맥락적 행동, 루틴 행동, 단일 고리 행동, 이중 고리 행동 등 다양한 수준의 행동으로 발현되는 과정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 과정은 성과에 대한 조직의 피드백을 통해 다시 개인의 의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순환적 모형으로 이해되었다. 이러한 역량의 발현 과정을 차단하는 단절 고리는 개인 의도 불일치, 멘탈모델 불일치, 지식 제약, 멘탈모델 제약, 피드백 부재, 피드백 효과 부재 등의 여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개념, 역량모델링, 역량개발이 현상학적 관점에서 접근될 필요가 있음을 결론으로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dividual competence activation process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and the missing link that block the proces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behavior and performance, with the aim of clarifying the meaning of competence as a new approach to human ability and expanding the practical usability of competence. To this end, Spencer & Spencer(1993)’s competency causal flow model was set as the initial model, and a theoretical exploration process was applied to explore the various theories and models to develop this model. As a result, the competence activation process, which was looked at a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intention and action, was the process in which intent, consisting of knowledge, individual mental model, and shared mental model, was expressed as multidimensional behavior of decontextual behavior, routine behavior, single loop behavior, and double loop behavior. This process has been understood as a cyclical model that, through organizational feedback on performance, affects the formation of an individual s intentions. Based on this cyclical model, I explored missing links that blocked the competence activation process and divided them into six categories: individual intention discrepancy, mental model discrepancy, knowledge constraints, mental model constraints, absence of feedback, and absence of feedback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 that competency concept, competency modeling, and competency development need to be approached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subsequent research were suggested.

Ⅰ. 서 론

Ⅱ. 역량의 등장 배경과 개념적 특징

Ⅲ. 역량 발현 과정

Ⅳ. 역량 발현 과정의 단절 고리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