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creativit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ity-fostering teaching and examined the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Methods: A total of 202 pre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Creative Behavior Inventory (CBI), Teaching Efficacy Scale, and theCreativity-Fostering Teacher Behavior Index (CFTI) were used for the survey. A hypothesized model and alternative model were tested using structuralequation model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18.0 PSAW and AMO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reschool teachers’ creativity was positivelyassociated with their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ity fostering teaching. Preschool teacher’s teaching efficacy positively related to their creativityfostering teaching. Preschool teachers’ creat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direct effect on creativity-fostering teaching and also an indirect effect oncreativity-fostering teaching via teaching efficacy. Conclusion/Implications: Implications to foster creativity in preschool andkindergarten are discussed,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teacher education topromote teaching efficacy as well as teacher’s creativity and creativity-related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9)
- 어린이집 통합학급 보육교사와 특수교사의 유·초 연계 중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
- 보육실습 관련 변인이 예비보육교사의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 되어가기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영유아 자녀를 양육하는 남성을 대상으로
- 예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 구조분석
- 어린이집 원장의 초임보육교사 채용에 대한 인식과 선발과정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 대상 메이커 교육 모형 적용에 따른 변화 탐색
- 아동학대 의심자로서 보육교사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
- 유아교사의 창의성이 창의적 교수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온정적 양육행동 및 통제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