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844.jpg
KCI등재 학술저널

문화예술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수준에 의해 조절된 건강의 매개효과 -진주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Effects of Cultural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Health Moderated by Education Level -Focusing on Residents of Jinju-

  • 223

본 연구의 목적은 진주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문화예술활동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건강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교육수준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PSS 18.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절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건강을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수준은 문화예술활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문화예술활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수준은 문화예술활동이 건강을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문화예술활동이 건강을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진주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문화예술활동을 장려하여 건강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을 할 경우에는 교육수준이 높지 않은 사람들을 목표대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개입의 효과성과 효율성이 높일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health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nd if such mediating effect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 of education among Jinju resi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PSS 18.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ltural activities had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indirect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through health. Second, education moderated the effect of cultural activities on health. In other words, as the level of education decreases, the effect of cultural activities on health increases.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model was supported in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s the level of education de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interventions on social welfare can improve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by encouraging cultural activities to Jinju residents. And these interventions would b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for involving the people who have not had a high level of educa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