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살사별 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탄력성의 조절효과 분석
The Effect of Experiencing Suicide on Suicidal Ideation: The Analysis on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 정아원(Jung, Ah Won) 이경원(Lee, Kyeong Won) 송인한(Song, In Han)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복지상담교육연구
- 제9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4
- 1 - 26 (26 pages)
본 연구는 자살사별 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긍정적 심리내적기제가 보호요인으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데이터인 ‘사회적 관계 내 자살을 경험한 자살생존자의 정신건강 추적연구’의 Wave V 데이터를 2차분석 하였으며, 인구조사의 성별, 연령, 지역에 근거해 층화비례할당표집으로 구성된 전문조사기관의 패널에 포함된 만 19세 이상 70세 미만 대한민국 성인남녀 1,390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자살사별은 자기보고로 측정되었으며, 자살생각은 Beck’s SSI, 탄력성은 K-CD-RISC로 측정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사별 경험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경제적 요인, 주관적 건강 상태 및 정신심리적 요인을 통제하고 높은 자살생각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 둘째, 탄력성은 낮은 자살생각과 연관성이 있다. 셋째, 자살사별 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정적관계에서 탄력성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사별 경험이 자살생각과 연관되어 있는 관계에서 개인의 탄력성이 그 관계의 영향을 완충시킨다는 점에서, 자살에 노출되어 자살생각을 경험하는 위기집단에 대해 탄력성을 증진하기 위한 심리사회적 개입과 프로그램을 구축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resilience as a positive psychological mechanism buffers as a protective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suicidal death and suicidal ideation. Secondary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data from Wave V of the Longitudinal Study of Suicide Survivors’ Mental Health, nationwide selected using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based on the Korean Census Data’s sex, age, and region. 1,390 adults aged from 19 to 69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uicidal bereavement, suicidal ideation, and resilience were measured by self-report, Beck’s SSI, and K-CD-RISC, respectively.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s with suicidal bereav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suicidal ideation after controlling for the socio-demographic, economic, health, and psycho1ogical factors. Second,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suicide ideation. Third, resili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bereavement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n the point that individual resilience can buffer between exposure to suicide and suicidal ideation, it is suggested that psychosocial intervention and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nd established to increase resilience for the risk group of individuals who experienced exposure to suicide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