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844.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ty Sense: Mainly in Community Child Center

DOI : 10.20497/jwce.2020.9.1.277
  • 440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을 대상으로 공동체의식을 증진하기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동체의식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공동체의식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집단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고안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1개 지역아동센터를 선정하고 본 센터 이용아동 중에서 참여의사를 보인 24명을 선발하여 무작위로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은 비동일 집단 사전-사후 검증 방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집단에서는 공동체의식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데 반해, 실험집단에서는 공동체의식에 긍정적 변화가 확인되어 공동체의식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공동체의식의 하위요인별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구성원의식, 상호영향의식, 정서적 연계 영역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이에 반해 욕구와 충족의 통합영역은 효과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에서 집단프로그램을 발전시킬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group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ty sense for the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hors reviewed related papers and developed group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ty sens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program, 24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center were randomly selected from 12 experimental groups and 12 comparative groups. This study appli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oup program for improving community sense was proved to be effective on increasing community sense of kids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 Second, the results of each subfactor of community sense had significant effects in the areas of membership, influence, and emotional linkage. On the other hand, integrated area of needs and satisfaction had not proven effectiv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were made to develop group programs at the community child center.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위한 공동체의식 함양 집단프로그램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