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 관련 변인에 대한 음악치료 연구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Music Therapy Research on Family-Related Variable
- 임정희(Lim, Jeong Hee) 황은영(Hwang, Eun Young)
- 한국음악치료학회
- 한국음악치료학회지
- 제22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4
- 1 - 24 (24 pages)
본 연구에서는 가족 관련 변인에 대한 음악치료의 효과크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석ㆍ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 선정된 31편의 연구로부터 143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으며,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333으로 중간 수준을 나타내었다. 변인 별로 살펴보면 가족 특성에 대해서는 장애 및 질병군 가족과 기타 가족 모두에서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이고, 참여 가족 구성원 유형에 대해서는 다양한 가족 구성원이 혼합하여 참여하였을 때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중재 목적에 대해서는 가족 구성원 간의 관계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프로그램 구성에 대해서는 노래 만들기, 악기 연주, 기타(음악극 등)가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회기 수에 대해서는 9회기 이상 15회기 이하, 회기 당 소요시간에 대해서는 40~50분이 가장 큰 효과 크기를 보였다. 연구자 전공에 대해서는 타전공자보다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해 시행된 음악치료가 더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size of music therapy regarding family-related variable by meta-analysis where master/doctoral theses and journal articles were included. As a result, 143 effect sizes were derived from 31 studies.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0.333, indicating a medium effect size. When it was analyzed by variable, regarding family characteristics, it showed a medium effect size in family with disease and disability. For other families, a medium effect size was observed. Regarding participated family member type, it showed a large effect size when mixed members participated in music therapy. Regarding intervention purpos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In case of program configuration type, music therapy which consists of songwrit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 or others (music drama, etc.)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regards to total number of sessions and time per session, 9 to 15 sessions and 40-50 minutes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respectively. Finally, regarding researcher’s major, music therapy by music therapy major researchers was more effective than one by the other major researchers.
방법
결과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