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성장에 대한 마이스터고 효과: 2시점 유사종단 연구

The Effects of Meister High School Programs on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50

본 연구는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한 마이스터고의 학교 효과를 일반고 및 특성화고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전국의 마이스터고 10교, 일반고 9교, 특성화고 10교에 재학 중인 1,798명(마이스터고 614명, 일반고, 569명, 특성화고 615명)이 연구대상이다· 2011년(2학년)부터 2012년(3학년)까지 2년에 걸쳐 표집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시점 유사종단자료가 구축되었다· 성장모형 분석을 위해 시간과 학교유형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3수준 다층모형을 적용하였다· 진로성숙도의 경우, 마이스터고 집단은 초기 수준에서 일반고 동료들과는 유사하고 특성화고 집단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성장모형 분석 결과, 마이스터고 집단의 진로성숙도는 유의한 성장을 보였다· 그러나 비교집단과 성장률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즉, 마이스터고 집단에서 진로성숙도의 추가적인 성장은 발견되지 않았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경우도 2학년 당시 마이스터고 집단은 일반고 동료들과 차이가 없고 특성화고 집단보다는 높은 수준이었지만, 세 집단 간 성장률의 차이는 없었다· 종합하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있어 마이스터고 학교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마이스터고 집단의 진로성숙 수준이 이미 높은 수준이어서 이른바 천정 효과(ceiling effects)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o examine the effects of Meister school programs on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research compared the growth of dependent variables for two years among three different student groups. Meister, general high school,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Samples were 614 Meister students, 569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615 vocational students across the nation. Multi-level modelling was employed to find the effects of Meister school programs on outcome variables. Although career maturity of Meister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vocational students and similar with tha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2011,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growth of career maturity during the 2011-2012 period among the three groups. The same results were found on the variabl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Namely, no school effects were found for Meister school on the growth of outcome variable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