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일터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퍼실리테이터 역량 요구분석: D기업 사내 강사를 대상으로

A Need Assessment on the Facilitating Competencies of a Workplace Instructor: Based on Workplace Instructors of the “D” Company

  • 94

이 연구는 최근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일터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확대됨에 따라 사내 강사를 대상으로 퍼실리테이터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에 따른 인식수준과 실제 수행수준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착수되었다. 이러한 분석은 일터 교수자의 퍼실리테이터 역량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돕고 그들의 활동 개선 및 조직 효과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찾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퍼실리테이터 역량으로 교수방법 및 전략, 전문적 기반, 과업 및 분위기, 커뮤니케이션, 조직화라는 다섯 개의 역량군이 도출되었다. 세부 역량으로는 학습 환경 관리, 교수 방법과 자료계획, 목적의 명확화와 기본 원칙 수립, 비언어적 방법 활용, 사전 계획과 준비 등 22개 역량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터 교수자가 인식하는 퍼실리테이터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수준의 차이가 큰 역량군은 교수방법 및 전략, 조직화, 커뮤니케이션, 전문적 기반과 과업 및 분위기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터 교수자의 퍼실리테이터 필요역량 중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 기술, 전문적 지식과 기술 업데이트, 효과적인 유머 활용, 후속활동(follow-up) 점검 역량은 중요도에 비해 수행 수준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등급별 일터 교수자의 퍼실리테이터 필요역량으로 등급이 가장 낮은 3급 일터 교수자는 효과적인 유머활용, 2급 일터 교수자는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 기술, 학습과 수행 측정, 비언적 표현 관찰, 효과적인 유머활용, 후속활동(follow-up) 점검으로 나타났다. 등급이 가장 높은 1급 일터 교수자는 효과적인 프리젠테이션 기술, 효과적인 퍼실리테이션 기술, 전문적 지식과 기술 업데이트, 효과적인 유머 활용, 후속활동(follow-up) 점검으로 나타났다.

The recent shift in teaching-learning paradigm started to require workplace instructors or in-house instructors to expand their competencies. In relation to the shift, this study analyzes facilitating competencies of workplace instructors and compare between how much the instructor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facilitating competencies and how much they practice them in real life.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aids broad understanding of the workplace the instructors` facilitating competencies and offers a key clue in providing a solution to increase organization efficiency and to improve teaching activitie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ilitating competencies expected of workplace instructor are drawn out and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professional basis, task and atmosphere, communication and systematization. In more details there are 22 competencies such as management of learning atmosphere, planning of teaching methods and data. clarification of objectives. Secondly, there is a gap between how much of importance the workplace instructors consider each facilitating competencies and how much they actually practice them. This is the order from the largest gap to the smallest gap;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systematization, communication, professional basis and task and atmosphere. Also, albeit the fact that presentation techniques,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ical update, effective usage of humor, and follow-up checks are necessary facilitating competencies, their level of performance was relatively low to their importance. Thirdly, to rank workplace instructors by their necessary facilitating competencies, the lowest and third level would show effective sense of humor, the second level would use effective presentation techniques, measure degree of learning and performing, and observe non-verbal expressions. Top level workplace instructors would use effective presentation and facilitating skills,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ological update, effective humor and practice follow-up checks.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