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은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인력과 직업교육에서 배출되는 인력의 양적.질적 불일치를 줄여서 교육의 결과가 인적 자원의 생산성 향상으로 직결될 수 있도록 역량중심 직업교육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NCS 정책의 성공은 NCS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를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실행하는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과 역량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CS 기반 교육과정이 도입됨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요소가 무엇인지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기존의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분석 및 종합한 후, NCS 기반 교육과정을 시범적용하고 있는 학교 교원과 NCS 전문가 패널 인터뷰를 실시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에서 전문교과 교사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새로운 역량은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전문가 검토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받아, 최종적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전문교과 교사의 5가지의 역량군과 하위 역량 13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5가지 역량군과 이와 관련된 하위역량군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훈련이라는 역량군 아래 수업계획 및 준비 역량, 수업 진행 역량, 수업 평가 역량, 실험실습 수업 역량, 수업 연구 역량이 도출되었다. 둘째, NCS 이해라는 역량군아래 NCS 개념 이해 역량, NCS 기반 교육과정 이해 역량, NCS 학습 모듈 활용 역량이 도출되었다. 셋째, 산학연계강화의 역량군 아래 산학겸임교사와의 유대 강화 역량, 지역사회 산학협동 교육 역량이 도출되었다. 넷째, 진로생활지도 역량군 아래 진로지도 역량, 생활지도 역량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행정업무 역량군 아래 행정업무역량이 도출되었다. 또한 각각의 역량별로 행동지표들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교과 교사들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NCS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훈련하기 위한 지침 역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 NCS를 효과적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여 능력중심사회에서의 전문적인 인재 양성에 이바지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success of the implementation of NCS in the educational practices depend on whether NCS can be effective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Vocational schools. Effective implementation of NCS in the curriculum demands vocational teachers to play a critical role in subsequent practic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stablish the newly required competence factors of vocational teachers as NCS based high school vocational training curriculum is introduced. Literature reviews on competency requirement for vocational teachers was performed, followed by interviews with a panel of experts who have related experiences and expertise, and Delphi validations of the resulting sets of competencies. Five sets of competency groups and twelve sub-competencies with fifty-five behavioral indicators were finally derived. First group was vocational training and education competency. Second group was understanding NCS. Third competency group was linking competency between industry and school. Fourth, guiding competency both for students` career and life, and fifth, administrative competency were finally formul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vocational teachers under NCS based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for them to understand the goal and background of its introduction, and to conduct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