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interruption academic work of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 41

이 연구는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을 조기 진단하여 원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학업 중단의 요소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우선 밝혀 그를 제거 또는 개선하기 위하여,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고 잠재적 학업 중단 학생이 겪고 있는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성인교육과 대학교육을 제외하고 ``잠재적 (학업) 중단``, ``잠재적 (중도) 탈락``, ``잠재적 (학교) 부적응``으로 제목이나 키워드로 검색 설정해서 나온 11편과 ``학업 중단``으로 검색한 58편 중 중복되는 4개의 학술지 논문을 제외하고 총 65편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추출된 이론적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을 검증하기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10월 31일부터 11월 7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수도권의 6개교, 경상권의 4개교, 전라권의 3개교, 충청권의 3개교, 강원권의 1개교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해 1,870부의 설문 조사지를 송부하여 실시하였다. 총 1,467(78.4%)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자료 활용이 어려운 247부를 제외한 1,220부(83.2%)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 요인에서 ``정서적·신체적 자아 요인``, ``진로 의식 요인``, ``문제 행동 요인``으로 구명되었으며, 가정 요인은 가정의 ``결속·양육 태도 요인``, ``가정의 경제·양육 환경 요인``으로 구명되었다. 학교 생활 및 학업 요인은 ``학교 전공과 학생 진로 적성과의 관계·지원 요인``, ``교칙·훈육 과정 요인``, ``학업 성적 요인``, ``학생 간 관계 요인``, ``교사 요인``, 사회 환경 요인은 ``유해 환경 경험 요인``, ``특성화고에 대한 사회적 인식 요인``, ``청소년 지원 시설 요인``으로 구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interruption academic work of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establish effective alternatives that may be considered to address the issues vocational high schools latent interruption academic work are facing.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interruption academic work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urned out to be ``emotional and physical self factors``, ``career conscious factors``, and ``problem behavior factors`` for personal factors. For home factors, ``home solidarity and rearing attitude factors``, and ``home economy and rearing environmental factors`` were found. For school life and academic factors, ``major and career aptitude relationship and support factors``, ``school rules and discipline process factors``, ``academic performance factors``, ``student inter-relationship factors``, and ``teacher factors`` were identified. For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hazardous environment experience factors``, ``social awarenes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factors``, and ``youth support facilities factors`` were identified.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