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산림분야 신규 자격종목 선정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New Qualification Items of the Forest Fields in Korea

  • 5

이 연구는 산림분야의 선진국인 핀란드, 영국, 독일 등의 산림분야 자격과 관련 직업, 산림분야 유망직업 연구 등에 제시된 직업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산림분야에서 신규 개발가능한 자격종목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내외 산림분야 자격 및 직업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안을 마련하고 해당 분야 전문가를 통하여 적용 및 성장가능성 정도를 묻은 결과로 개발가능한 자격종목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또한, 우선순위 결정방법에 따라 선정된 자격종목에 대해 시나리오 분석을 실시하여 미래수요를 예측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용가능성과 성장가능성으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산림치료사(나무의사)’, ‘산림테라피스트 및 가이드’, ‘산림업 마이스터’, ‘산림 방재 및 병충해 관리사’가 우선적으로 개발 가능한 자격종목으로 선정이 되었다. 둘째, 우선순위 결정을 도출된 4개 자격종목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 결과, ‘산림치료사(나무의사)’, ‘산림테라피스트 및 가이드’, ‘산림업 마이스터’, ‘산림 방재 및 병충해 관리사’ 자격종목에서 노동시장 및 기술수요, 사회적 관심과 지위, 정부 투자규모, 인력양성지원 네 영역 모두 대체로 수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연구 결과를 기초로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분야에 적합한 자격체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선정된 자격종목을 구조화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Due to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issues, the importance of the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forests is recognized and industries related to forests are considered as the core social impacts such as the green growth and the job opportunitie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forest fields qualification study was implemented to get the new qualifications. To do develop the new qualification on forest, advanced countries were chosen as Finland, England and Germany, which forest fields qualifications and work-forces were analyzed to select a new qualification. The methods and processes were adopted to analyze in-outer country``s forest work forces and qualifications and the expert panel has been adopted as to decide the priorities of qualification and predict future demands of the qual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represented as wood nurse and therapist, forest therapist and guide, forest business meister, care-taker on prevention & control of forest pests, respectively which reached a high consensus to be priorities qualification kinds developed by panelists, and they predicted four qualifications should be positive demands in the forest labor market, government investment and work force development area. The research suggestions were made that the forest qualifications system should be needed as reinvestigated, and the selected qualifications should be studied as restructured to cope with forestry fields labor marke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절차 및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