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전문대학 입학사정관제가 졸업자의 일과 전공 일치도 및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unior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on the Job-Major Match & Job Satisfaction

  • 49

이 연구의 목적은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선발된 전문대학생들의 졸업 후 전공-직업 일치도와 업무만족도 측면에서 전문대학 입학사정관제의 효과를 추정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중 3(2004년 당시) 코호트 자료의 개인 특성 관련 변수(성별, 부모 학력, 자기인식 수준), 대학생활 관련 변수(인턴십 경험 여부, 전공 계열, 졸업 평점), 취업 관련 변수(자격증 개수, 월평균 소득, 정규직 여부, 대기업 여부, 근무시간, 직장소재지), 취업 이후의 변수(전공-직업 일치도, 업무만족도)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일과 전공의 일치도 및 업무만족도에 대한 입학사정관제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량 및 중다회귀모형, 순서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입학사정관제로 전문대학에 입학하여 졸업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일과 전공 일치도가 보다 높은 직종 및 직장에 취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업무만족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입학사정관제도가 전반적으로 노동시장 성과에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는 원인을 제도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에서 논의하였으며,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자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junior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s in terms of job-major match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used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applying middle school 3rd year cohort of the year 2004. With the special attention to the effects of junior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s,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with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gender, level of self-concept, parents` social economic status in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internship experience, major, GPA in college-related variables; and number of certificates, monthly income, employment status, company size, work hours, and company location in employment-related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graduates with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of job-major match and job satisfaction,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nly job-major match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graduates with junior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s showed higher possibility in getting job related their majors; however,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s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prospects of the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s were suggested in system and operation aspects.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