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마이스터고 진학 학생의 특성: 3년(2010-2012) 연구

Comparisons of Family Background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Satisfaction among First-year Students from Meister,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 5

본 연구는 마이스터고 진학 학생들이 특성화고 및 일반고 동료들과 비교하여 가정배경(사회경제적 배경, 부모자녀관계), 학습심리적 특성(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교생활 변인(학교만족도, 학교소속감)의 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에 걸쳐 추적하여 분석하였다. 전국적으로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일반고를 각 11개교씩 선정한 후, 1학기를 마치는 시점에 학교별로 1학년 학생을 무선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559명(특성화고 871명, 일반고 841명, 마이스터고 847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수행하였고, 마이스터고 학생의 연도별 변화 추이를 분석하기 위해 2010년 대비 2012년값에 대한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마이스터고 집단은 아버지 학력의 면에서 특성화고 집단과 유사하고 일반고 집단보다 낮았지만, 부모자녀 관계는 일반고 집단과 차이가 없었고 특성화고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학업적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역시 일반고 동료들과는 차이가 없었지만 특성화고 집단보다는 모두 높았다. 마지막으로 학교만족도와 학교소속감은 두 비교집단보다 모두 높은 수준이었다. 한편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모든 특성에 있어 2010년에 비해 2012년에는 전반적으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선도 모델로서 마이스터고가 적어도 학생 선발 측면에서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고, 일반교육에 대한 대안적 교육경로로서 마이스터고의 성공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compared family backgrounds, learning performance-relat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satisfaction among first year students from meister,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s for three years(2010~2012). Samples include 871 vocational students, 841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847 meister students. One-way ANOVA and Chi-squared test were employed. Results show that meister students have better relationship with parents, higher self-efficacy in learning,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better school satisfaction, and higher sense of belonging to school than vocational students. During the three year, 2010~2012, all variables have improved for meister student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meister schools have succeeded in terms of student recruitment and student performance. Meister schools may become a innovative and successful school model that may improve vocational education stigmatized as second-class educa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