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고용서비스 인력의 역량지표 개발

The Identification of Competencies and Indicators Needed for Employment Service Practitioners

  • 11

실업과 고용불안정 등 노동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일자리 문제의 해결은 최우선 국가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사회적·직업적 변화의 흐름에 따라 일자리와 사람을 연결하는 고용서비스 인력의 양성·선발·배치·평가 등 일련의 전문성 확보의 기반은 합의된 역량지표 마련에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고용서비스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현장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고용서비스 인력의 역량지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고용서비스의 인력의 필요 역량지표(안)을 도출하고, 두 차례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도출된 고용서비스 인력 역량지표의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서비스 인력의 역량을 도출함에 있어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타당성 모두 평균 4점 이상이었으며, 중위수 역시 4 혹은 5점이었고, 긍정률 역시 90% 이상, CVR값도 0.91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판단할수 있다. 둘째,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직업상담윤리, 고용정보 관리 및 활용능력, 고용관련 법령 및 정책에 관한 지식, 취업지원 프로그램 운영능력, 고용서비스 평가능력, 인적네트워크 구축 능력, 직업상담기술, 직업심리검사 활용능력, 취업알선 능력, 자기개발능력 등 10개의 고용서비스 인력 역량을 도출하였으며, 각 역량별행동지표로 상담윤리 3개, 고용정보 관리 및 활용능력 6개, 고용관련 법령 및 정책에 관한 지식 3개, 취업지원프로그램 운영능력 5개, 고용서비스 평가능력 3개, 인적네트워크 구축 능력 4개, 직업상담기술 12개, 직업심리검사 활용능력7개, 취업알선능력 7개 등 총 55개의 행동지표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량지표는 고용서비스 인력의 양성·선발·배치·평가 등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역량표준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As uncertainty increases in labor market, resolution of jobs issues becomes a national priority. Depending on the flow of social and occupational changes,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staff to influence the quality of employment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competencies and indicators for the employment service practitioners. For this purpose, reviewing the literatures on competencies needed for a employment service practitioners, and the Delphi survey with 12 experts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competencies and indicators derived from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the delphi, the draft of competencies in the employment service practitioners were confirmed through validity process of panels` opinion(means(4 or more), median(4 or 5), agreement rate(90% or more), CVR(>0.91(0.56 in case of 12 experts))). Second, Ten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as competencies needed for employment service practitioners, which were ① ethics of vocational consultation, ②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employment information, ③ knowledge on legislation and policies related to employment, ④ operating the employment support programs, ⑤ evaluation of the employment services, ⑥ networking, ⑦ vocational consultation skill, ⑧ utilization of vocational psychological test instruments, ⑨ job placement, and ⑩ self-development, and also total fifty five indicators were developed. Ten competencies and fifty five indicators identified by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competence framework development for the employment service practitioner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