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결정요인 분석: 서울지역 진로결정 집단별 비교

A Study 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erspective o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focusing on Seoul area

  • 44

본 연구는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진로결정 집단별, 연도별 비교분석을 함으로써 특성화고 선진화정책의 실효성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진로결정요인은 개인변수, 학교변수, 가정변수로 나누고, 진로결정집단은 취업을 계획하는 학생, 진학을 준비하는 학생, 아직 진로를 정하지 못한 학생으로 나누어 최근 2년간 변화 추이를 코호트 집단 비교를 통해 분석했다. 본 조사는 서울시 교육청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공동 연구한 ``2011년 특성화고 진로이력 분석`` 자료와 ``2012년 특성화고 진로이력 분석``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특성화고 1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2011년에는 표본 1,545명, 2012년도는 1,496명이 참여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특성화고 입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이 전반적으로 높아졌으며 취업 희망자의 자기효능감 상대적으로 많이 향상 되었으나 진학결정요인으로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과학교안내를 받은 학생이 대학 진학보다는 취업을 결정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진로상담이 2011년도에는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2012년도에는 취업을 결정하는데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2012년에는 2011년과 달리 가정에서의 진로관련 대화가 대학진학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못해, 학부모의 취업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ecision makig factors among a career decision to college group, a career decision to job group, and a career indecision group and how the decision makig factors of these group`s had changed between 2011 and 2012.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coowork project of KRIVET and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conducted in 2011 and 2012, and target sample is the first grade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 in Seoul are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self-efficiency of students in 2012 are barely increased in comparison of 2011, but it has no effect as career decision making factors bewteen groups of a career decision to college group and a career decision to job group. The group who took a guidance on school and specialization information has high possibility to decide to get a job rather than to go to college in both 2011 and 2012 and the group who took a counseling has high possibility to decide to get a job in only 2012. Moreover, experience to discuss career with parents had increased in the group of a career decision to job and it no longer influence to make student to go to college.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