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 변인

Variables Associated with School-Related Adjustment of Meister School Students

  • 5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정도를 규명하고, 이와 관련된 변인들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2010년 12월 현재 마이스터고에 재학하고 있는 1학년 학생들이며, 총 1000명의 마이스터고 1학년 학생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10년 12월 9일부터 12월 30일까지 우편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고, 최종분석에는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 응답과 일부 문항에 무응답한 자료를 제외하고 415부가 활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대체로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으며, 특히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전공적응의 하위 영역 가운데 학교규칙과 교우관계에 있어서 잘 적응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수업에 있어서는 다른 하위 영역들에 비해 적응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전체 학교생활 적응은 학생들의 성별, 중학교 때 현재 학과의 희망 여부, 고교 졸업 후 진로의 결정 여부, 가정의 경제 수준, 신입생 적응교육, 학습증진을 위한 교사 활동, 학교생활을 위한 교사 지원, 학교생활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과 상관이 있었다. 셋째,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전체 학교생활 적응은 학습증진을 위한 교사 활동, 학교생활에 대한 학부모 관심, 중학교 때 현재 학과의 희망 여부, 학교생활을 위한 교사 지원, 학생들의 성별에 의해 설명되며, 관련 변인 중 학습증진을 위한 교사 활동이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school-related adjustment level of meister school student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its related variable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population sample for the study constituted 415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purposive sample of 1000 first grade meister school students. A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28 scales.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hool-related adjustment level of meister school students was moderately high. In sub-variables of school-related adjustment, ``compliance with the rule`` was the highest, and ``school instruction`` was the lowest. Second, eight related variables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chool-related adjustment level of meister school students. They were ``gender difference``, ``student``s department hope``, ``career decision of student``, ``economic status``, ``orientation for freshman``, ``teacher activity for student learning improvement``, ``teacher support for student school life``, ``parent``s interest about school life``. Third, af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roportion of the variance in school-related adjustment of meister school students was about 42.5%. School-related adjustment of meister school students was most explained by ``teacher activity for student learning improvement``.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결과 및 해석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