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College) Graduates Youth

  • 176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에 따르면, 가구소득이나 출신대학, 전공과 같이 대학생 스스로의 노력으로 바꾸기 어려운 요인들의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학교의 교육적 지원 노력이나, 재학 중 일자리 경험, 해외어학연수, 자격증 취득 등과 같은 취업준비 노력은 그다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무원 또는 공단(사) 시험 준비가 취업가능성을 더욱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음도 특기할 만하다.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대학생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는 대학 재학 시의 학점이 유일하였다. 재학 중 취업준비 노력이 효과적일 수 있도록 유도하고 지원하는 방안의 모색이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Using a 1st wave data of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this study attempts to ascertain determinants of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college) graduates youth in labor market. The results revealed that while variables such as the household income level and the quality of university(college), maj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abor market status (employed/unemploye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providing services and graduates endeavor to be employed such as experiencing work during the university(college) years and acquiring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participating in language training abroad or supplementary private education for employ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abor market status. In particular, preparing for a civil-service or public enterprise examination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being employed. The only factor which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eing employed and university(college) graduates youth can manage, is GPA. It is urgent to develop government policies to make graduates endeavor being employed to be effectiv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