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IV/AIDS 감염인과 일하는 사회복지사의 딜레마
Social Workers’ Dilemma Working with People Living with HIV/AIDS
-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 미래사회복지연구
- 제11권 제1호
- : KCI등재
- 2020.04
- 77 - 109 (33 pages)
본 연구는 “HIV/AIDS 관련기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딜레마는 무엇인가?”라는 연구질문으로 질적연구를 하였다. HIV/AIDS영역에서 1년 이상 근무한 사회복지사 7명을 심층인터뷰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HIV감염인을 만나면서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 존엄한 삶과 생명에 대한 가치의 흔들림, 클라이언트의 경험과 가치 차이에서 오는 갈등, 비밀보장의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사회복지조직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로서 한정된 자원사용 시 형평성의 딜레마, 자원확보와 클라이언트 보호에서의 딜레마, 조직의 규칙과 클라이언트 이익간의 갈등 속에서 균형을 이루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AIDS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무관심 속에서 무뎌지지 않으려 노력하고, AIDS사업의 전달체계 안에서 실적중심의 성과요구, 한계가 있는 법과 제도를 따를 수 밖에 없지만 한편으로는 클라이언트를 위해 부단히 정부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이러한 연구참여자의 경험들은 ‘무한반복하는 딜레마의 악순환 속에서 감염인을 중심에 놓고 일함’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딜레마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미시적으로는 조직에서의 수퍼비젼 및 딜레마 논의체계구축, 사회복지사 교육과정에 윤리적 이슈에 대한 부분의 강화, 거시적으로는 AIDS에 대한 사회적 낙인 감소,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better understanding of social workers dilemma who work at HIV/AIDS organiza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social workers who had worked in HIV/AIDS agencie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workers experienced their value of life and human dignity being challenged, conflicts arising from differences in client s experience and values, and the dilemma of confidentiality. Within organizations, they were trying to balance the dilemma of equity in using limited resources, and of securing resources and protecting clients, and the conflict between organizational rules and clients’ interests. The participants tried not to be dull to society’s indifference to AIDS, they were also forced to follow performance-oriented demands, limited laws and systems of the AIDS project. Despite the difficulties, they continue to knock on the door of the government on their clients’ behalf. Their work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as ‘working with the clients in a vicious cycle of recurrent dilemmas’.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were suggested: the use of supervision system within organizations along with peer support group, promotion of HIV/AIDS in social work education, the government s active policy for and the reduction of social stigma against HIV/AIDS.
1. 서론
2. 우리나라의 HIV/AIDS 관련 상황
3. 사회복지실천과 딜레마
4. HIV/AIDS 관련 업무에서의 윤리적 이슈와 딜레마
5. 연구방법
6. 연구결과
7.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