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178.jpg
KCI등재 학술저널

푸드아트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Influence of the Food Art based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 741

본 연구는 푸드아트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2018년 3월부터 2019년 1월에 걸쳐 푸드아트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연구, 대상자 구상, 대상자 선정, 관찰자 훈련, 사전검사, 푸드아트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실시 및 적용, 사후검사, 자료처리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G도시에 위치한 중학교 2학년 ‘대안교실’에 참가한 학교 부적응 청소년 16명을 무선 표집으로 배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8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회기 당 50분간 주 1회, 총 11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정서적 안정감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4.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사전, 사후의 변화를 비교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푸드아트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감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food art-based group art therapy influences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lternative class among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aladjustment in G city, Gyeonggi-do. Sixteen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were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eight of whom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eight to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weekly50-minute sessions, for a total of 11 sessions. As study tools, an emotional stability scale and a self-esteem scal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PSS 24.0 program was used. The the differences in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were compared.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 food art-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