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230.jpg
KCI등재 학술저널

성리학 인성론으로 본 포스트젠더리즘

Post-Genderism in the Theory of Human Nature of Neo-Confucianism

  • 10

필자는 포스트젠더리즘에 대한 동아시아 전통철학인 성리학적 성찰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성리학적 성찰은 포스트휴먼 시대의 성리학적 인간관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포스트젠더에 대한 동아시아 관점의 연구를 시작한다는 의미를 모두 갖고 있다. 포스트젠더리즘은 과학기술이 성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역할에 근본적 영향을 끼침으로써 성의 이분법적 구도로부터의 우리를 해방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기술을 통해 생물학적 성과 심리적 성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사회적 성으로부터도 완전히 해방될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주요한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젠더리즘은 근대적 젠더 정체성으로부터의 탈피가 젠더 문제를 해결하는 출발점이라고 지적한다. 둘째, 다양한 포스트젠더리스트들의 주장들에서 발견되는 공통점 중 하나는 바로 젠더의 이분법적 구도를 부정한다는 점이다. 셋째, 포스트젠더의 개념 자체가 비결정적이라는 점 또한 하나의 특징이다. 포스트젠더의 비결정성은 포스트젠더가 한 인간으로서도 젠더 정체성으로서도 고정된 본질을 가지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특징들로부터 필자는 탈신체화를 통한 젠더 해방을 주장한 포스트젠더리즘의 신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우선 포스트젠더리즘에서 말하는 근대적 젠더 정체성으로부터의 탈피, 젠더 중립성, 양항 젠더로부터의 해방의 개념은 그 자체로도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학자마다 다르게 제시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젠더 없는’ 혹은 ‘젠더 중림’에 대하여 두 가지 면에서 고찰했다. 첫째, 젠더의 임의성, 가변성, 우연성, 대체가능성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근대적 젠더 개념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성리학에서 인간을 도덕적 문화적 프레임으로 해석하는 관점과 유사한 담론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 착안하여 고찰했다. 둘째, 사이보그화, 즉 기계화에 대한 포스트젠더리즘의 주장에 대해서는, 성리학의 존재론에서 신체는 마음에 종속되어 있는 관계가 아니고 마음과 신체는 동등한 관계이며 하나의 유기체를 구성하는 동질적인 요소라는 관점에서 고찰했다.

In this paper, I try to reflect on postgenderism in terms of neo-confucianism, an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This means starting a study of East Asian perspectives on postgender, with a reconsideration of the confucian view of humanity in the posthuman era. Post-genderism argue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can free us from the dichotomy of sex. Postgenderists aim to be free from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sex and to be completely free from sociality of gender through technology. The main argument is as follows. First, post-genderism points out that the departure from modern gender identity is the starting point for solving gender problems. Second, one of the commonalities found in the various claims of postgenderists is that they negate the dichotomy of gender. Third, the concept of postgender itself is nondeterministic. The indeterminacy of the postgender concept means that postgender does not have a fixed nature, neither as a person nor as a gender identity. I attempt to consider critically postgenderism, which insisted on the liberation of gender through de-bodyization, centering on the concept of the body. First of all, I point out that the concept of breakaway from modern gender identity, gender neutrality, and liberation from double-gendered gender in postgenderism is not only unclear in itself, but also is presented differently by scholars. And there are two ways to think about genderless or gender-neutral. First,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gender randomness, variability, contingency, and replaceability. In other words, it means liberation from the concept of modern gender. This study focused on the discourse structure similar to the point of view of human beings as a moral and cultural frame in neo-confucianism. Second, with regard to cyborgization, or post-genderism s claim to mechanization, the body in the ontology of neo-confucianism is not a subordinate relationship to the mind, but the mind and the body are equal relationships and homogeneous elements that constitute an organism.

I. 머리말

II. 젠더 담론의 역사

III. 포스트젠더리즘의 핵심 주장

IV. 포스트젠더리즘의 ‘신체성’ 개념

V. 포스트젠더리즘에 대한 성리학적 고찰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