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가적색목록 취약종(VU)인 꼬리명주나비와 그것의 유일한 먹이 식물인 쥐방울덩굴의 보전을 위하여, 수변 지역에 서식하는 쥐방울덩굴의 서식지 환경과 이들 중 생육과 생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네 개의 국내 쥐방울덩굴 서식지(가평, 평택, 청주, 여주)에서 2018년 7월과 10월에 방형구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주요 동반종, 초식 곤충의 출현 여부, 지지대의 유형,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쥐방울덩굴 개체군의 서식지 환경과 생육 및 생식 양상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평택 개체군에서가장 빠른 생육 속도와 개화 및 결실 시기를 나타냈으며, 청주와 여주 개체군에서는 인간의 교란으로 인한 지상부 손상이 원활한 생육을 방해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 쥐방울덩굴의 생육 속도는 쥐방울덩굴의 초기 생육 시기부터 제공된 지지대의 유형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쥐방울덩굴의 개화 및 결실 시기에는 경쟁과 섭식 스트레스의 생물적 요인과 높은 토양 양이온 함량의 비생물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쥐방울덩굴개체군의 빠른 생육과 적절한 시기의 개화와 결실을 위해서 안정적인 지지대의 제공과 경쟁과 섭식 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or the conservation of both Sericinus montela (vulnerable species by red book of Korea) and A. contorta, we investigate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and reproduction of Aristolochia contorta. We selected four A. contorta habitats at Gapyeong, Pyeongtaek, Cheongju, and Yeoju in Korea and surveyed community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companion species, herbivore appearance, support types,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July and October, 2018. Habitat environments and the growth and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A. contorta were different according to four habitats of different regions. In particular, the fastest growth speed and earliest flowering and fruiting were observed in Pyeongtaek. Growth of A. contorta in Cheongju and Yeoju were interrupted by aboveground damage from human disturbance. In this study, support types seemed to be important for growth speed of A. contorta. Flowering and fruiting timing were likely to be related to combined effects of soil cation contents and competitive and herbivore stresses. Therefore, providing effective support and reducing biological stress should be necessary for stable growth and proper flowering and fruiting timing of A. contorta. In addition, experimental evidence would be need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soil cation and biological stress on flowering and fruiting of A. contorta in detail.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논의
4.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