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하수처리장에서의 고농도 연계처리수에 대한 요금 개선 제안

Suggestions for Cost Improvement of High concentration Linked Treatment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 30

연계처리란 분뇨, 가축분뇨, 침출수, 기타 산업폐수 등 고농도의 폐수들을 인근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하여 해당 사업체의 부담을 덜어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2018년 하수도 통계 기준국내 하수처리장의 약 4.5%인 187개소의 하수처리장에서 연계처리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나, 합리적인 비용산정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국내 지자체에서 하수처리 운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진은 현재 연계처리수를 부과하는 산정방식에서 문제가 되는 점을 해결하고자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연계처리제도가 하수처리단가에 미치는 영향과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이 중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주요 인자를 개선안에적용하였다. 그 결과 기존 산정방식에 세 가지 부분을 개선한 개선안을 제시하였고, 산정방법과 기존 문헌값을 통한 산정사례를 함께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연계처리를 시행하는 지자체에서 참고하고, 하수도조례 등을 개정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수있으며, 합리적인 연계처리제도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inked treatment refers to a system that relieves the burden of the business by linking high concentrations of wastewater such as human waste, manure, leachate, and other industrial wastewater to nearby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MWTPs). In 2018, 187 MWTPs, which are about 4.5% of the total domestic MWTPs, have implemented a linked treatment system, but local governments are having difficulties in operating sewage treatment due to lack of reasonable cost estimation standards. Therefore, we proposed an improvement plan to solve the problem in the calculation method that currently imposes linked wastewater. To this end, the effects and correlations of the linkage treatment system on the sewage treatment unit were analyzed, and among them, the main factors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were applied to the improvement plan. As a result, an improvement plan that improved three parts of the existing calculation method was presented, and the calculation method and the calculation case using the existing literature values were also presented. This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ference by local governments to implement linkage treatment, and to revise local sewerage ordinance and is believed to be helpful in operating a rational linkage system.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