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기발현 치매(초로기 치매)의 특징과 비약물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동향 조사
Characteristics and Non-pharmacological Approach of Early-onset Dementia(Young-onset Dementia)
- 원경아(Won, Kyung-A) 이민아(Lee, Min-A) 심주영(Sim, Ju-Young)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 제2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0.06
- 53 - 65 (13 pages)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발현(초로기) 치매의 행동심리·인지적 특징과 더불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알아보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비약물적 중재법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중 NDSL, RISS, Google Scholar를 통해 조기발현(초로기) 치매와 관련된 문헌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문헌들의 제목·초록·전문 순으로 검토하여 조기발현(초로기) 치매환자의 특징과 비약물적 중재법에 대한 내용을 추출한 후 결과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 : 조기발현 치매 유형에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혈관성 치매, 전측두엽 치매 등이 있으며, 노인성 치매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비전형적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심리·인지적 증상뿐만 아니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감소가 두드러지며, 증상 완화 또는 악화 지연을 위해 인지활동, 신체활동, 사회활동 등과 관련된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법들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논문은 노인성 치매가 아닌 조기발현 치매의 특징과 비약물적 중재법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조기발현 치매 관련 연구가 적은 상황에서 조기발현 치매의 원인, 증상, 비약물적 중재법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병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가정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psychologic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early-onset dementia, as well as patients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o systematically analyze and introduc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Methods : Literature related to early-onset dementia was collected through NDSL, RISS, and Google Scholar. We reviewed the articles in order of title, abstract and full text, and tried to show systematically the results after extracting the contents from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early-onset dementia. Results : Types of early-onset dementia include Alzheimer s dementia, vascular dementia, and frontotemporal dementia. Patients with early-onset dementia are different from senile dementia and are often non-typical. In patients with early-onset dementia, behavioral·psychological and cognitive symptoms, as well as a decreased ability to perform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re noticeable.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related to cognitive, physical, and social activity are applied to relieve symptoms. Conclusion : This paper clearly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onset dementia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early-onset dementi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summarizes the causes, symptoms,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f early-onset dementia as studies related to early-onset dementia in Korea are scarce.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not only for hospitals, but also for communities and families dealing with early-onset dementia.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