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정보제시 방법의 차이에 따른 단기 기억력(시각적, 청각적 자극으로) 비교: 무작위 통제 연구
Comparison of Short-Term Memory Ability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for the elderly: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 이나윤(Lee, Na-Yun) 안소현(Ahn, So-Hyun) 신재용(Shin, Jae-Yong)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 제2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0.06
- 17 - 25 (9 pages)
목적 :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 더 나은 학습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노인들에게 시각적 자극과 청각적 자극 즉, 정보제시 방법의 차이에 따른 단기기억력 비교와 학습의 효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경북지역에 거주 중인 노인 40명을 대상으로 8주간 총 40명(실험군1 20명, 실험군2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전산화인지재활훈련 프로그램(Rapael Comcog)을 이용하여 실험군1은 시각적 자극을 제시하였으며, 실험군2는 청각적 자극을 제시하여 단기 기억력에 대해 비교하였다. 결과 : 자극간 순차적, 역행적 말하기 정확도 평가에서는 시각적 자극이 더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자극간 순차적, 역행적 말하기 반응시간 비교시 청각적 자극이 더 우세하게 나타났다. 음운단기기억능력과 학습자 성향의 평균 비교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시각적 자극에 대한 기억력이 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 시각자극을 활용하여 언어 및 인지능력, 학습능력이 향상된다면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with visual and auditory stimuli on the elderly, as well as to compare different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s’ effectiveness on short-term memory, as a way to develop better learning skills for adult learners.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on 40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Gyeongbuk area for a total of 40 subjects (20 in Experimental Group 1 and 20 in Experimental Group 2) for 8 weeks. The effectiveness levels of visual and auditory stimuli on short-term memory were compared through Rapael Comcog. Results : Visual stimuli were relevant in assessing sequential and retrograde speech accuracy by stimuli. Phonetic memory and the average learning attitud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us, the memory of visual stimuli produced more significant results. Conclusion : As the ability to speak, recognize, and learn using visual stimuli was improved, this result was predicted as critical outside of the modern worl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