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탈북 청소년 적응 관련 논문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Keyword network analysis of North Korean youth adaptation papers

  • 318
커버이미지 없음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연구가 포함한 키워드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지금까지의 연구의 내용과 흐름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적응 관련 논문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학술지 개재논문의 연도별, 논문별 동향을 파악하고 논문의 키워드들을 수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분석절차는 분석대상 논문선정, 키워드 추출 및 코딩, 키워드 네트워크 구축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시각화 과정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에서 2019년까지 총 72편의 탈북 청소년 적응 관련 논문이 게재되었다. 논문 별로는 등재학술지와 석사학위논문에 가장 많이 개재되었다. 둘째, 키워드는 학교적응, 사회적응, 문화적응, 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키워드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셋째, 탈북 청소년 적응 관련 논문의 키워드 연결정도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적응, 사회적 지지, 문화적용의 순으로 중심성 지수가 높았으며, 의미연결망 분석결과 연구방법, 학교적응, 사회 및 문화적응, 학교적응에 대한 방법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적응 관련 연구동향을 탐색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Keyword network analysis is a metho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keywords included in the research and to analyze the content and flow of the current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of the papers on adaptation to North Korean youth. To do this, we grasped trends in each year and thesis of master 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10 to 2019. The analysis procedure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object thesis selection, keyword extraction and coding, keyword network construction,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2010 to 2019, a total of 72 papers related to North Korean youth adaptation were published. By thesis, it was most frequently published in the journals and master s thesis. Second, keywords showed high frequency in order of school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cultural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entrality of keyword connection degree in the North Korean youth adaptation related papers, the centrality index was high in the order of school adaptation, social support, and cultural application. Appeared as a cluster of methods f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research trends related to North Korean youth adaptation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