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적 분석에 따른 연극치료 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학위 논문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Trend of Drama Therapy Research Based on Empirical Analysis - Focusing on Domestic Thesis
- 정소라(Jeong, So Ra)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연극예술치료연구
- 제12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0.06
- 33 - 59 (27 pages)
국내 연극치료 연구는 양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연구가 행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경향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그 개선점을 찾기 위해 1997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일한 특성을 갖는 대상군이 반복적으로 연구되는 경향을 보이며 시대상을 반영한 대상군 선정이 미흡하다. 랜디와 제닝스의 접근법 사용이 67%에 이르지만 이론에 따른 방법론․프로그램 설계의 연관성이 약하다. 심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한 경우에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또한, 심리척도에 비해 연극치료 진단도구의 사용이 제한적이고 역할 프로파일 사용 비율이 44%에 이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상군과 연극치료 이론에 관한 보다 폭넓은 관심, 연극치료 교육기관의 전문성 심화, 실습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슈퍼비전 체계 구축과 교육이 필요하다.
Domestic drama therapy research is growing steadily in quantity. But limited and repetitive research tends to be done. This study focused on domestic dissertation from 1997 to 2020 in order to empirically identify this trend and find its improve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arget groups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tend to be studied repeatedly. and The selection of a target group suitable for the times is insufficient. Although Randy and Jennings theory accounted for 67 percent, the link between theory and methodology and program design is weak. Similar trends exist when programs are designed by applying psychological theory. Also, the use of drama therapy diagnostic tools is limited compared to the psychological scale. and Role profile inspections account for 44 percent. To improve these problems, a wider interest in the target group and the theory of drama therapy, the develop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drama therapy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establishment and education of the super-vision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practical education are needed.
Ⅰ. 서론
II. 국내 연극치료 실태에 관한 선행 연구
Ⅲ. 연구 목적 및 방법
Ⅳ. 국내 연극치료 학위논문 동향
1. 연도별 추이
2. 연극치료 모델 및 심리학 이론 사용 및 측정 도구의 활용
–사례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