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무기조합과 전쟁유형·사회유형

Weaponry and Types of War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ocial Structure: From the Bronze Age to Early Iron Age

  • 1,038

청동기시대에 이르면 복합사회로 진입했을 것이라는 데에는 별다른 이견이 없다. 하지만 어떤 고고학 자료가이를 표상하는지를 보여주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필자는 청동기~초기철기시대의 사회유형을 무기조합 관계를통해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회유형과 전쟁유형·무기조합 사이의 상관관계를 민족지와 전쟁인류학적인 연구들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부족사회의 전쟁은 원격전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무기도 원격전용 투사무기뿐이지만 군장·국가사회의 전쟁은 원격전+근접전으로 조직화되었기 때문에 무기도 원격전용 투사무기+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근접전용 장병충격무기로 조합되었다. 이를 토대로 한국고대문화권의 무기조합과 변동양상을 살펴보았다. 신석기시대에는 활(석촉)만 확인된다.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에는 원격전용 투사무기(석촉)+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석검) 조합이 형성되며, 비파형동검문화가 등장하고 나서도 한동안 지속된다. 기원전 6세기경 비파형동모가 등장하면서 원격전용 투사무기(석촉, 동촉)+근접전용 단병충격무기(석검, 비파형동검)+근접전용 장병충격무기(비파형동모) 조합이 등장하고, 기원전 5~4세기의 십이대영자문화에 중원계 무기류와 요령식동과가 등장하면서 완성도를 높여 갔다. 이러한 무기조합은 기원전 3세기부터 세형동검문화를 통해 요동과 한반도로 확산되고, 기원전 2세기에는일본열도까지 파급된다. 이러한 무기조합의 등장과 확산은 이전과는 다른 원격전과 근접전으로 조직화된 새로운 전쟁이 시작된 것을 의미한다. 전쟁인류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전쟁유형은 군장사회나 국가사회처럼 강제력을 수반한 수장권이 형성된 사회에서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무기조합의 등장과 확산은 한국고대문화권이 초기국가단계로 진입하였음을 알려주는 물질적 표상이다.

In war anthropology, strong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tructure and types of wars, and between types of wars and weaponry have been proposed. Wars in tribal societies are fought far apart, thus only projectile weapons are used. However, wars amongst chiefdoms and states are fought both as melee combat and ranged combat. This can at least partially explain the combined usage of projectile weapons and shock weapons. Weaponry and their changes in ancient Korean culture were examined in this article. In the Neolithic, only arrowheads, a projectile weapon, were found. In the Early Bronze Age, the emergence of the stone dagger gave rise to a weapon combination consisting of projectile weapons (arrowheads) for ranged combat and hilt weapons (stone daggers) for melee combat. The appearance of lute-shaped bronze spearheads at around 6th century B.C, in turn gave rise to a new weapon combination consisting of projectile weapons (stone or bronze arrowheads), hilt weapons (stone or bronze daggers) and pole weapons (luteshaped bronze spears). The discovery of Chinese bronze daggers, bronze dagger-axes, bronze spears, and lute-shaped bronze spearheads dating to ca. 5-4th century B.C. at Shiertaiyingzi (十二臺營子) illustrates the continued trend of increased sophistication in weapon combination. This weapon combination spread with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to the Liaodong and Korean peninsulas, and then to the Japanese Archipelago at ca. early 2nd century B.C. The combined use of projectile and shock weapons signifies the emergence of a new type of war that includes both ranged combat and melee combat. In studies of war anthropology, this type of war is only deemed possible in a society where the leader had a sufficient level of coercive power. The emergence and spread of such a weapon combination can be seen as a material manifest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such coercive power which indicates the advent and formation of early states.

Ⅰ. 머리말

Ⅱ. 인류학적으로 본 사회유형과 전쟁유형

Ⅲ. 남한지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무기조합

Ⅳ. 중국동북지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무기조합

Ⅴ. 한국고대문화권의 무기조합과 전쟁유형·사회유형

Ⅵ.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