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혁신학교의 수업공개연구와 학생들의 학습 경험 탐색

Open-class in innovative school and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 249

이 연구는 두 혁신학교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의 특징과 수업공개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두 학교에서 ‘공개되는 수업’은 배움의 공동체를 모델로 하는 참여와 협력의 학습 구조였으며 학생들에게 ‘인식되는 수업’ 역시 이와 유사했다. 둘째, 수업공개연구는 구성원의 불완전한 참여와 협력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학생들은 수업공개연구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었으며 공개한 수업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기 어려웠다. 셋째, 타인의 기대를 고려하여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상호작용적 특성이 나타났다. 교사들은 수업공개연구에서 ‘함께하는 나’로서 공동의 규범에 따르고 있었다. 학생들은 수업공개에서 ‘보여지는 나’로서 ‘이미지 관리’를 관리하며 바람직한 학습자의 모습을 내면화하고 있었다. 넷째, ‘소외 없는 수업’ 속에서 새로운 소외의 문제가 드러났다. 교사들은 학습에서 소외되는 학생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돌봄의 태도를 보였지만 한계가 있었다. 타인과 ‘관계’ 맺기에 어려운 소수의 학생들은 ‘모둠 속의 외로움’을 견디면서 지속적인 ‘수업 소외’ 상태에 놓여있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학문적, 실천적 의미가 있다. 첫째, 두 학교의 수업연구는 교사의 성찰을 중요시하는 ‘집단적 실행 연구’의 성격을 보였다. 이는 공개되는 수업과 일상의 수업의 단절을 극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에서 학생의 참여와 협력에 주목하는 ‘과정적 시선’이 필요하다. 셋째, 그동안 사회 경제적 배경과 학습부진과 같은 소외 문제에 비해 ‘관계 맺기’에 곤란을 겪는 학생들의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다. 향후 교사학습공동체가 학생들의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이고, 학습 소외의 문제를 더욱 깊이 연구하면서 학생과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연구과정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The current article examines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students experiences who participated in open-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pen-class in two schools modelled learning-community which emphasizes on involvement and cooperation, and students also recognized them. Second, members in school joined open-less study without full-participation and full-cooperation. Especially, the students did not understand the purposes and meanings of open-class research, and couldn t voice their opinions enough. Third, There was attribution of interaction, which means students was controlling their behavior with considering others expectation. Teachers thought they have to join open-class study as a norm. Students were managing their own image and internalizing how desirable learner should be through open-class. Fourth, new matter of alienation occurred in ‘lesson without alienation’. Although teachers paid more attention to students who got alienated in lesson, there was limitation. Som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relationship with others were enduring isolation in group and still remained alienated in lesson. This research has two meaning in educational study and practice. First, lesson study in two schools can be characterized wish collective action research focusing on reflection . It has contribution to overcome the gap between daily-lesson and open-class. Second, we need to see lesson as process and focus on students involvement and cooperation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ird, comparing to alienation from social-economic status and under-achievement thos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relationship have been less paid attention. From now o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should be process of lesson study paying more attention to students voice and learning alienation with students.

Ⅰ. 서론

Ⅱ. 교사학습공동체와 수업연구문화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