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위한 콜라주 미술치료 사례연구

The Effect of Collage Art Therapy o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Special Teachers

  • 260

본 연구의 목적은 콜라주 미술치료가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A지역 B중학교에 다니는 심리적 소진을 겪는 특수교사 1명을 단일사례로 진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12월 3일부터 2020년 1월 2일까지 매회기별 120분씩 주 2회로 총 9회기 콜라주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효과검증을 위하여 특수학교 교사심리적 소진 척도를 미술치료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고, 콜라주 미술치료를 통한 심리적 소진과 관련된 회기별 행동 변화와 작품에 나타난 심리적 소진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주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특수교사의 심리적소진에 효과적이었다. 특수교사 심리적 소진 척도 3가지 영역 정서적 탈진, 장애학생에 대한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 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심리적 소진과 관련된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작품에 나타난 심리적 소진의 변화는 작품이 긍정적인 자아상이 표현되었으며 점차 통합적이고 형식과 내용이 조화롭게 표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콜라주 미술치료가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age art therapy o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special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single case of a special teacher who suffered psychological exhaustion at school B in area A. The teacher took a total of 9 art collage therapies twice a week for 120 minutes per session. Psychological exhaustion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rt therapies, and the behavioral changes of each session related to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the changes in psychological exhaustion shown in the works through collage art therapy was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age art therapy programs were effective for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the special teacher. Second,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related to psychological exhaustion of the teacher was positively changed. Third, the changes i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in the work were gradually expressed as an integrated and positive self-image.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collage art therap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f special teachers. In conclusion, collage art therapies positively helped special teachers with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it was done with experiencing self-understanding process, achievement, and insights through the work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