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679.jpg
KCI등재 학술저널

매장문화재 사회교육의 현상과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Method and Current state of Social Education on Buried Cultural Property

  • 252

문화유산은 그 자체가 역사이고, 그것을 공유하는 집단의 정체성까지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매장문화재는 고대 사회의 모습을 복원할 수 있는 핵심 자료에 해당하기 때문에 문화유산적 가치가 상당하다. 그러나 매장문화재 사회교육을 포함한 대중고고학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시작된 것은 불과 10년 전부터이다. 이 글에서는 현재 전국적으로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는 매장문화재 사회교육의 현상을 진단하고, 진정성 있는 매장문화재 사회교육과 활성화 방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그 전망과 시행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현행 매장문화재 사회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그 진정성과 의미를 살리기 위해서는 항구성, 학술성, 효율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 방안으로는 박물관 및 전시관 내 공간을 활용한 유구 전시의 활성화와 이것을 이용한 매장문화재 사회교육, 그리고 스마트폰의 장점을 활용한 박물관 전시 등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지에 보존된 유적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중요성도 함께 만족되었을 때 극대화된 사회교육의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향후 매장문화재 사회교육이 유의미한 콘텐츠로 일반 대중들에게 정착하기 위해서는 실제 이러한 행정과 제도를 주관하는 문화재청을 비롯하여 국립박물관 등 관계기관에서 많은 관심을 보여줄 필요가 있고, 현재 매장문화재 사회교육을 주도하고 있는 문화재조사기관에서 계속해서 많은 관심을 보여야만 한다. 이러한 관심은 문화재 발굴현장이 공개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하고, 상시 공개되는 발굴현장이 많아질수록 일반 대중들과 더 가까운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대학박물관은 매장문화재 사회교육에 가장 적합한 장소임을 언급하였고, 결과적으로는 지역사회의 대중고고학 발전에 이바지해야 해야 함을 설명하였다.

Culture heritage is history in itself, and can embody the identity of the group that shares it. In particular, buried cultural properties hold considerable value as cultural heritage, because they are the only materials which can restore the appearance of prehistoric and ancient societies. However, it was only a decade ago that academic interest in popular archaeology, including social education on buried cultural properties, began. This study diagnoses the education on buried cultural properties currently being actively implemented throughout South Korea, explores methods for the integrity and revitalization of social education on buried cultural properties, and suggests the feasibility and prospects of those methods. Ultimate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permanence, academic excellence, and efficiency must be thoroughly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education on buried cultural properties, and to preserve the integrity and significance of such education. Examples of relevant measures suggested in this study include: reinvigorating exhibitions of ancient relics using spaces in museums and exhibition halls; social education on buried cultural properties using such exhibitions; and education in museum exhibitions using the advantages of smartphones. In tandem with these examples, the study highlights that learning effects may be maximized by embracing the importance of social education that takes place while physically exploring local historical sites. In order for social education on buried cultural properties to establish itself as significant content to the general public in the future, it is essential that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oversees cultural administration and policies, as well as relevant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how substantial interest. Cultural property research institutes that currently lead the education on buried cultural property education must also demonstrate consistent engagement. Such involvement must begin by first disclosing cultural property excavation sites; the more the number of excavation sites that are open at all times, the closer their relationship with the general public. In addition, this study explicates that university museums are the most appropriate location for social education on buried cultural properties, and that they must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opular archaeology in their communities.

Ⅰ. 머리말

Ⅱ. 매장문화재 사회교육의 현상과 진단

Ⅲ. 진정성 있는 매장문화재 사회교육과 활성화 방안

Ⅳ. 매장문화재 사회교육의 향후 전망과 가능성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