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679.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장지역 고분 연구

A Study on Ancient Tombs in the Gijang Area

  • 71

기장은 명례리, 반룡리, 임랑리, 방곡리, 용수리 가동, 연구리, 동백리, 동부리, 고촌리, 청강리 등 14개소에서 고분이 발굴 조사되었다. 발굴조사 결과 목관묘, 옹관묘, 목곽묘, 석곽묘, 석실묘 등 600여 기가 확인되었다. 남부권역은 청강리, 북부권역은 가동을 중심으로 고분군이 조성되었다. 고분의 전개양상을 통하여 볼 때, 크게 6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1단계는 목관묘 축조기로 방곡리에서 기원 전후한 시기에 위신재가 부장되는 것으로 보아 지배집단의 등장을 알 수 있다. 2단계는 장방형 목곽묘 축조기로 목곽의 규모와 금속유물의 부장량이 늘어난다. 3단계는 세장방형 목곽묘 축조기이며, 주·부곽식과 무구류가 등장한다. 4단계는 석곽묘 축조기로 무구 및 무기, 마구, 농공구, 의기 등을 갖춘 위계구조가 형성된다. 5단계는 장방형 석실묘, 6단계는 방형 석실묘 축조기이다. 고분의 수가 점차 감소하고 금속유물의 부장량도 줄어든다. 1단계에 형성된 지배집단은 2단계에 성장하면서 묘제와 묘역을 달리하고, 3단계에 정치체를 형성하였다. 4단계에는 새로운 묘제의 출현과 함께 지배조직을 완성한다. 5단계부터는 매장관념에 변화가 나타나며, 주변지역과 관계를 권고히 유지하면서 지배집단의 지위를 지켜나간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were excavation surveys at 14 places around Gijang including Myeongrye, Banryong, Imryang, Banggok, Gadong of Yongsu, Yeongu, Dongbaek, Dongbaek, Gochon, and Cheonggang Ris. The excavation surveys covered approximately 600 tombs including wooden coffin tombs, jar coffin tombs, wood-lined tombs, stone-lined tombs, and stone chamber tombs. The ancient tombs were built around Cheonggang-ri in the southern zone and Gadong in the northern zone. The tombs were divided into six stages based on their developmental patterns. Stage 1 saw the construction of wooden coffin tombs in Banggok-ri. Given the burial of Wisinjae before and after the birth of Christ, it seemed that the ruling class emerged. Stage 2 of rectangular wood-lined tombs witnessed an increase in the size of wood lines and the amount of metal artifacts buried. Stage 3 of thin rectangular wood-line tombs witnessed the appearance of Jugwak and Bugwak structures and armors. Stage 4 of stone-lined tombs saw the formation of a hierarchical structure with armors and weapons, harness, farming tools, and astronomical instruments. Stage 5 saw the construction of long rectangular stone chamber tombs. Stage 6 saw the construction of square stone chamber tombs. The number of ancient tombs gradually dropped with the reduction of metal artifacts buried. The ruling class that emerged in Stage 1 introduced different tomb styles and places, undergoing growth in Stage 3. They formed a political entity in Stage 3 and completed their ruling organization with the emergence of a new tomb style in Stage 4. There were changes to the concept of burial in Stage 5 when they maintained their political power along with the surrounding groups.

Ⅰ. 머리말

Ⅱ. 고분군 분포현황 및 고분구조 분석

Ⅲ. 고분의 전개양상

Ⅳ. 기장지역 고분의 성격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