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733.jpg
KCI등재 학술저널

《今献汇言》及在韩国的传播

About spreading Jinxian huiyan(今獻彙言) in Joseon - Focused on Dialogue and Communication -

  • 7

이 논문은 종래의 연구에서 穌齋 盧守愼의『大學集錄』이 중국의『今獻彙言』에 영향을 받았다는 언급에 촉발되어 연구를 시작하였다. 『금헌휘언』이라는 책은 일찍이 퇴계의 편지에서 언급 된 바 있다.『금헌휘언』은 明代 高鳴鳳이 당시의 유명한 저서 25권 가운데서, 문물, 제도, 철학, 문학, 천문, 지리, 역사 등을 발췌하여 엮은 것이다. 『금헌휘언』의 판본은 초간본과 재간본의 두 가지가 있다. 초간본은 嘉靖28년~嘉靖34년(1549-1555) 사이에 편찬되었는데, 총 28권이다. 이 초간본은 逸失되어 겨우 8권만 남게 되었다. 그래서 명대의 민간 출판업자들이 이것을 다시 엮어 10책 39권으로 간행하였다. 이 책을 재간본이라 한다. 퇴계선생의 편지에서 소개된 바 있는『大學』改定說은『今獻彙言』초간본에 수록된 『聽雨紀談』에 실려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穌齋 盧守愼은『大學集錄』을 편찬하면서 이 초간본에 실려 있는 자료, 곧『청우기담』의 내용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今獻彙言』초간본은 1557년경에 조선으로 유입되어, 다음 해(1558년)에 再刊된 것으로 보인다. 퇴계 이황, 소재 노수신 뿐만 아니라 李湛 · 柳成龍 · 鄭經世 · 尹根壽 · 金柱臣 · 朴世采 · 金楺 · 楊應秀 · 李圭景 등이 이 초간본 내용을 인용한 바 있다. 이렇게 하여, 조선시대의 학자들은 초간본『금헌휘언』을 통하여 명나라의 문물제도, 철학, 문학, 천문지리, 역사 등의 지식을 얻었으며, 이러한 지식들은 조선의 서지학과 학술에 큰 영향을 주었다.

This paper examines how Jinxian huiyan(今獻彙言) spread to Joseon, and how it influenced it. In previous studies, it was mentioned that Jinxian huiyanin fluenced Noh Su-shin s work, the Daehakjiprok(大學集錄).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demonstrate the statement. Jinxian huiyan, that is writen by Gao mingfeng, is a compilation of excerpts from culture, institutions, philosophy, literature, astronomy, geography, and history among the 25 famous books of the Ming Dynasty. There are two versions of this book. The first edition was compiled between 1549 and 1555. There are a total of 28 books. The book gradually disappeared, leaving only eight books left. So Ming Dynasty private publishers gathered again and published 10 books and 39 volumes. This is called the second edition. The theory of the revision of Daxue(大學), which Toegye introduced in his letter, seems to have been from Tingyujitan(聽雨紀談) in Jinxian huiyan. Noh Su-shin s the Daehakjiprok also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here. The book was introduced to Joseon around 1557 and republished the following year. Lee Dam, Ryu Seong-ryong, Jung Kyung-se, Yoon Geun-su, Kim Joo-shin, Park Se-chae, Kim Yu, Yang Eung-su, and Lee Kyu-kyung cited the contents of this first edition. It seems that many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gained much knowledge of the culture and institutions of the Ming Dynasty through this first edition.

1.序

2. 关于《今献汇言》

3.朝鲜的受容与传播

4. 《今献汇言》与大学错简说

5. 结论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