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미술 교과는 학생들이 인간과 세상을 이해하고 판단하는 안목을 형성하며 비판적 성찰을 통해바람직한 삶을 추구하도록 가르쳐 왔는가? 미술 교과는 인문학 교육과 어떻게 관련되며 이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 제기로 이 논문에서는 인문학으로서의 미술(교육),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탐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인문학 교육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인문학적 가치를 중시한 미술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며 그동안 미술(교육) 에서의 인문학적 가치를 어떻게 접근하였는지 검토하였다. 이어서 미술의 인문학적 가치를 다음의 다섯 가지 관점별로 살펴보았다. 첫째, 미술작품은 인간에 관해 이야기한다. 둘째, 미술은 당시의 시대적, 사회적 배경, 삶의 방식이 담겨 있다. 셋째, 예술은 인간과 현실의 관계를 변화시킬수 있다. 넷째, 미술은 모든 인문학의 기초가 되는 행위와 경험에 기반을 두고 이를 극화하는 특수한 임무를 띠고 있다. 다섯째, 미술사, 미학과 같은 미술작품의 해석은 인문학에 의존하며, 인문학적 활동이다. 이러한 관점에 따른 탐색은 미술교육에서의 인문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자연스럽게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관점별로의 내용을 구현하는 질적인 수업 설계에 관한 후속연구를 제안하며, 미술교육이 인간을 이해하고 삶의 문제를 풀어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한다.
How is art subject related to humanities education and how can it be realized? With this question raised, this study examines art as humanities and the humanities of art. This study examines the discussion on humanities education, analyzes prior studies on art education that emphasizes humanities, and examines how the humanities values in art (education) have been approached. Next, we examine the humanities of art by five perspectives: First, art works talk about human beings. Second, art contains the era, social background, and ways of life of the time. Third, art can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reality. Fourth, art is based on the acts and experiences that are the basis of all humanities and has a special mission to dramatize it. Fifth, interpretation of art works such as art history and aesthetics depends on humanities and is an activity of humanities. The explora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in art naturally presents the content and method of humanities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 a follow-up study on the design of qualitative lessons that embodies contents by perspectives, and suggest that art education should go in a direction that can help humans understand and solve problems in life.
목차
I. 서론
II. 인문학, 인문학 교육이란?
III. 인문학적 가치를 중시한 미술교육, 선행연구 분석
IV. 인문학으로서의 미술(교육),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
V.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0)
- 비평기반 시작(詩作)교육에 대한 경험적 연구
- 우리나라 어린이박물관의 정체성을 통한 과제 탐색
- 창의적인 아일랜드 프로그램에 기초한 한국의 음악교육정책 개선 방향 탐색
- 시서화 수행으로서 전통교육의 재구축
-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이주자 통합에 있어서의 다문화·상호문화 역량 연구
- 다문화 학습공동체의 리듬과 학습과정 연구
-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성인학습자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요인 탐색 연구
- 마르틴 부버의 ‘만남’의 사상을 통해 바라본 숲의 교육적 의미
- 인문학으로서의 미술(교육),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 탐색
- 교도소 오케스트라 음악 프로그램 수강 재소자들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와 긍정적 삶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