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822.jpg
KCI등재 학술저널

Habermas의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Dietary Lif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Home Economics that Integrated Habermas’s Three Systems of Action

DOI : 10.19031/jkheea.2020.06.32.2.117
  • 195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개발하여 가정교과에서의 융합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문헌 고찰을 통해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등학교 식생활 교육과정의 특징, 개발의 중점사항, 핵심역량, 목표를 도출하였고, 국내외 식생활교육 문헌, 국내외 가정과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고찰하여 항구적 문제와 하위 실천적 문제를 설정하고,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의 내용체계가타당한지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하여 수정·보완하였고,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개발하였다. 세 행동체계를 융합한 초·중·고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되어있으며, 항구적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이 교육과정의 영역은 5가지로 ‘건강과 식생활’, ‘식단계획’,‘식품 구매와 관리’, ‘조리’, ‘식사’이며, 이 영역이 ‘개인과 가족’, ‘사회’로 교육과정의 범위가 반복적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에따라 5개 영역의 실천적 문제는 초·중·고등학교 급별, 두 차원(개인과 가족, 사회)으로 10개씩의 실천적 문제로 구성되어있으며, 계열화의 원리가 적용되어 실천적 문제와 내용 요소가 나선형적 계열화가 되어있다. 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우리나라2015 초등학교 실과와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과, 가정과학 교육과정의 식생활 영역 성취기준 및 학습 요소와 비교한 결과,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면서 더 추가된 내용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hat integratesthree systems of action and to prepare a plan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To achieve this goal,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econdary school dietary curriculum integrating three systems of action, the focus of development,core competencies, and goals were derived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In this study, we set up perennial and sub-practicalproblems and selected content elements. The contents system of the developed curriculu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examining the validity of expert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dietary education curriculumwas developed by integrating the three systems of action. The content system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at integrated the three systemsof action is centered on practical problems, and the perennial problem is ‘What should we do to practice healthy dietary life?’There are five areas of this curriculum: ‘health and diet’, ‘food planning’, ‘food purchase and management’, ‘cooking’, and‘meal’, and the scope of curriculum is repeatedly expanded to ‘personal and family’, and ‘social’. The practical problems inthe five areas are composed of 10 practical problems in the two dimensions (personal & family, and society), and the practicalproblems and contents elements are spiralle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The contents of this curriculum were compared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elements of the dietary life in the 2015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middleand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the ‘home economics science’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developed curriculum encompassed additional content beyond all the content already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