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내용 분석
Analysis of Media Literacy Content Reflected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제32권 제2호
-
2020.0699 - 115 (17 pages)
-
DOI : 10.19031/jkheea.2020.06.32.2.99
- 224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 교과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기술·가정 2’ 교과서12종의 학습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 목표’를 선택한 후, 빈도 및 내용 분석 및 세 번의 협의를통해 미디어 자료의 분포와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 목표’의 반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종 교과서의 전체 학습자료 중 미디어자료를 이용한 학습자료는 39.6%를 차지하였고 출판사별로 미디어자료를 이용한학습자료의 빈도와 비중에서 차이가 있었다. 미디어 유형에 따라서는 ‘인쇄’ 68.3%, ‘영상’ 16.7%, ‘디지털’ 13.5%로 분포하였고,단방향 미디어의 사용은 86.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둘째, 출판사별로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목표가 반영된 학습자료의 빈도와 비중에서 차이가 있었고 총체적인 미디어 리터러시함양을 위해 학습내용의 보완이 필요하였다. 학습자료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목표 중 ‘의미 이해와 전달’은 58.8%로가장 많이 반영된 수행목표였지만 미디어를 통한 쌍방향 소통은 부재하였다. 이러한 교과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과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목표를 수정하여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의미 이해와자기표현’, ‘소통과 사회참여’, ‘책임있는 미디어 이용’, ‘감상과 향유’, ‘미디어 기술 활용’, ‘정보 검색과 선택’, ‘창작과 제작’,‘비판적 이해와 평가’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의 가정 수업에서 가정과 미디어 리터러시 수행목표를 학습요소로반영하여 가정과 교육에서 융합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this purpose, 12 kinds = types of learning materials for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2’ textbooks wereanalyzed. After selecting ‘Media Literacy Performance Goals(MLPG)’ as the basis for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media dataand reflection of MLPG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39.6% of the learning materials using media materials out of the total learning materials of 12 textbooks, and therewer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and weight of learning materials using media materials by publishers. Depending on the typeof media, 68.3% of ‘printing’, 16.7% of ‘images, video’, 13.5% of ‘digital’, and 86.5% of the use of unidirectional media.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frequency and weight of learning materials reflecting the MLPG by publishers, and it wasnecessary to supplement the learning content to improve overall media literacy. Among the MLPG reflected in the learning materials,‘meaning and communication’ was the most reflected performance goal, with 58.8%, but there was no two-way communicationthrough the media.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textbook analysis, MLPG in Home Economics are revised as follows. ‘Understanding the meaningand self-expression’, ‘Communi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Use of responsible media’, ‘Appreciation and enjoyment’, ‘Useof media technology’, ‘Information search and selection’, ‘Creation and production’, ‘Critical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