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26.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결혼이주여성 부부의 성역할 인식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의 상호의존모형(APIM) 적용

  • 167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부부의 성역할 인식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이들의 결혼안정성을 증진시키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11,470쌍의 결혼이주여성 부부를 대상으로 커플자료 분석방법인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구조방적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이주여성과 남편 모두 전통적 성역할 인식을 가질수록 결혼만족에 정적인 자기효과가 있었다. 상대방효과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에 대해 남편의 성역할 인식이 부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남편의 결혼만족에 대한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 인식의 상대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과 남편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에 상대방효과를 보이는 남편의 성역할 인식을 보다 성평등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상담과 교육의 필요성 등의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gender role perception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in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Korean men coupl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1,470 married couples from 2012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ender role perceptions and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search model,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was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usbands reported more higher level marital satisfaction compared with immigrant women. And the gender role percep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in husbands and immigrant women. The husbands’ partner effect of gender perception on marital satisfaction of immigrant women was significantly positive. These results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for marital satisfaction to reduce the level of the gender role stereotype of husband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