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996.jpg
학술저널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동향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tress Coping Styles: A Review of Local Master s and Doctoral Theses

  • 516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해보고,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공하며 새로운 연구자들의 관심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검색하여 2008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 게재된 학위 논문 55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연구년도, 연구대상, 사용 척도, 연구방법, 연구변인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연구는 2010년과 2014년에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점차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용 척도는 1985년에 개발되고 요인분석 되어 1995년에 재구성된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 변인 간 관계연구가 대다수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독립변인으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박사 학위연구보다 주로 석사 학위 논문으로 게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측정방법의 다양화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연구의 관심 제고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through master s and doctoral theses in stress coping styles in Korea,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nd to draw new researchers atten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Stress coping style was searched on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55 theses from 2008 to 2020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year published,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cales, and variables.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tudies of stress coping styles were most conducted in 2010 and 2014 and declined gradually from 2014 to 2019. The most commonly used scale is The way of Stress Coping Checklist , which was developed and analyzed for factors in 1985, and then was reconstructed in 1995. In regards to the research method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tudies were conducted most with quantitative design and the most of them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Stress coping style was used most frequentl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t was published mainly in theses for master s degree rather than for doctor s degree.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diversification of measurement tools and the raise of interest in future research on stress coping styles should be followed.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