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의 협력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탐구

Qualitative research on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ourse of PBL-based health education for children

  • 110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협력학습 경험을 학습자의 입장에서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S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개설된 유아건강교육 수업을 수강하는 예비교사 26명이다. 본 연구에 활용한 주요한 질적 자료는 예비교사들의 성찰일지이며 팀 계약서, 팀 활동계획서, 팀 활동보고서, 자기·팀원평가서 등 예비교사들이 한 학기 동안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참여하면서 개별적으로 그리고 팀별로 제출한 과제들과 학기초·학기중반 설문지를 포함하였다. 분석과정에서는 예비교사들의 정서적·심리적 경험을 협력학습 상황과 맥락 그리고 대상과의 관계에 주목하여 살펴봤으며 반복적으로 재범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예비 교사들의 협력학습참여 경험을 잘 드러내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협력학습이 일어나는 과정 중에 지연된 즐거움을 경험하고, 과업, 절차 그리고 관계 갈등을 드러내거나 숨기면서 팀원과의 관계를 형성하거나 유지해 나가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으며, 분배와 절차상의 (불)공정함에 대한 인식을 강하게 드러냈다. 본 연구는 협력의 결과뿐 아니라 협력과정 중에 있는 학습자의 수업경험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필요하며, 협력학습의 인지적 측면 외에도 정의적 측면까지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study aimed at exploring PBL-based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26 preservice teachers enrolling in the health education for children course at one university in S city. The data sources are preservice teachers’reflective journals and include group contract, group project plan, group activity report, self and team member evaluation, and survey results. Repetitive analysis process, with a considera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emotional experiences in relation to the learning context and target, revealed three them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seldom experienced pleasure in the PBL process as they placed a higher value on the visible final product than the invisible process. Second, preservice teachers strove hard to build and maintain relationships with their team members while revealing and simultaneously hiding task-related, process-related, and relationship-related conflicts. Third,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eir strong perception of the distributive (in)justice and procedural (in)justice.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reflect upon preservice teachers’experiences during the collaboration process, not just on the outcomes of collabor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we need to consider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