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탐구
Exploring the meaning of grandmothers experience on caring their grandchildren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 제5권 제2호
- : KCI등재
- 2020.08
- 133 - 164 (32 pages)
본 연구는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외조모 3인의 내러티브를 통해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그 의미를 탐구하고 우리 사회에 널리 자리 잡아 가고 있는 황혼 육아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조모들은 황혼 육아에 참여하며 겪는 어려움과 이를 통해 느끼는 행복감과 감사함을 동시에 경험하는 과정에서 자녀를 위하는 마음으로, 그리고 손자녀가 주는 기쁨에 만족해하며 이를 모두 극복하고 있었다. 둘째, 외조모들은 할머니라는 위치에 서 있으나 실제로 손자녀의 엄마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경험 안에서 좀 더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인정받는 부모와 동등한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대우받기를 기대하였다. 셋째, 손자녀 양육의 경험과 더불어 외조모 가정과 자녀 부부의 일상생활 및 양육방식 등 손자녀를 매개로 가족들 사이에서 겪는 경험을 통해 가족의 화합을 이루고 의미 있는 가족 관계 형성을 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손자녀를 양육하는 외조모들에게 양육에 필요한 정확한 정보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양육 및 교육에 대한 지원, 기관 차원에서 외조모를 주양육자로 인식하고 접근하는 태도의 변화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grandmother’s experience while caring for their grandchildren and its meaning through the narrative of three grandmother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grandparental childcar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articipating in parenting at dusk, and the happiness and gratitude felt through them at the same time, the grandmothers were satisfied with the heart for their children and the joy of their grandchildren, overcoming them all. Second, the grandmothers were standing in the position of grandmother, but in the experience of actually playing the role of mother of grandchildren, they expected to be treated as a person who plays a role equal to a more subjective and positively recognized parent. Third, through the experience of caring grandchildren, the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 and children had become better in their daily lives and the family united and formed a more meaningful family relationship. Based on this, we suggest that if grandmothers are in charge of caring their grandchildren, education reflecting the changing times and support are necessary for grandmothers. In addition, we propose a change in the attitude of the institution that recognizes grandmothers as the main caregivers.
I. 들어가는 말
II. 연구 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