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145.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아들러 개인심리학적 상담에서 마음챙김 명상의 적용 방안에 대한 탐구

An Application of Mindfulness Meditation to Adler’s Personal Psychological Counseling Practice

  • 618

본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상담과 마음챙김 명상의 원리와의 관련성을 밝히고 개인심리학적 상담에서 마음챙김 명상의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마음챙김 명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아들러 개인심리학에서 바라본 내담자에 대한 기본 가정, 상담의 원칙, 인간관 측면을 기술하고, 마음챙김 명상의 주요 원리와 아들러 개인심리학적 상담의 실천적 측면에서의 유사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마음챙김 명상과 아들러상담의 주요 접근은 1) 수련의 목적과 치료목표, 2) 고통의 원인, 3) 수련방법과 치료방법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요소가 있다는 발견하였다. 특히 마음챙김 명상이 아들러의 상담에서 다루어온 과제인 1) 현재 삶의 과제(life tasks)를 대처하면서 일어나는 사고, 감정, 행동에 대한 알아차림에 활용되며, 2) 생활양식(life style)을 통찰하고 기본적 오류(fundamental error)를 발견하며, 3) 현상학적 경험((phenomenological experience)을 지금-여기에서 마음챙김할 수 있고, 4) 사회적 관심(social interest)을 확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methodologies by comparing mindfulness meditation with Adler s personal psychological approach,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of applying mindful meditation to Adler s counseling. First of all, we wan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indfulness meditation, describe the basic assumptions, principles and perspectives of human being on Adler s individual psychology, and find similarities between the main principle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the practical aspects of Adler s individual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main approach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Adler counseling was found to have similar factors in terms of 1) the purpose of meditation practice and treatment goal of Adlerian counseling, 2) the cause of pain, 3) the methods of mediation practice and the treatment method of Adlerian counseling. In particular, mindfulness meditation is used 1) to recognize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s that occur while dealing with the current life tasks,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 Adler s counseling, 2) to gain insight into life styles and discover fundamental errors, and 3) to aware of current mental experiences (phenomenological-experience).

이론적 배경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