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165.jpg
KCI등재 학술저널

장노년층 건강증진을 위한 모바일 헬스 기반 라이프스타일 케어 앱의 사용자 요구도 분석

Analysis the of User’s Needs for Developing a Mobile Health Based Lifestyle Care Application for Health Promotion among the Elderly

  • 163

목적 : 최근 건강한 삶의 질 증진을 위해 모바일 기반의 헬스 서비스 제공을 원하는 개인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자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확립을 위하여 라이프스타일 평가와 케어를 할 수 있는 앱개발의 기초자료로써 활용하고자, 사용자의 요구도와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55세 이상의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장노년층 총 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일원 배치 분산분석을 하였다. 결과 : 라이프스타일 평가 및 케어 앱의 콘텐츠와 관련하여 고령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분야는 하루 걸음수 측정, 전반적 신체활동, 혈압측정, 수면 수준 측정, 균형잡힌 식습관 측정, 일일 수행 활동의 종류및 시간 측정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이러한 라이프스타일이 관리 될 수 있도록 앱안에서 보여지는 기록에 대한 선호도로는 ‘하루 걸음 수를 그래프로 기록 및 관리기능’, ‘하루음식 섭취열량을 제공’, ‘일일 운동의 시행 횟수와 시간을 제공’, ‘시간별 활동의 종류와 수행시간을 제공’ 등이 라이프스타일의 관리를 위한 기록 부분에 필요한 콘텐츠로 조사되었다. 또한 그룹 간 차이로는 장년층에서는 활동참여를 주요한 콘텐츠로 보는 반면, 고령층은 이에 대한 중요도를 적게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고령자의 건강과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모바일 헬스 기반의 라이프스타일의 프로파일링 및 케어를 앱 개발을 위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컨텐츠를 조사하고,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방식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는 향후 모바일 헬스 기반의 라이프스타일 평가 및 케어 앱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Recently, the demand for wearable mobile devices for the monitoring and improvement of one’s health and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 of potential users in order to develop mobile health based and lifestyle care application for the elderly. Methods : Participants who lived in their community and used a mobile phone were recruited. Finally, a total of 84 participants completed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t-test, which was carried out with SPSS version 25.0. Results : The application functions that users deemed important for a lifestyle care app were the number of daily steps, physical activity, blood pressure, sleep, nutrition and participation in activity. Interesting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given to the app function of participation in activities between age groups. Conclusion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 and preferences of potential users of health and lifestyle care application for the promotion of health among the elderly.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could be a valuable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lifestyle care application.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로딩중